쌍태 임신부는 조산과 임신중독증 합병 위험 높다

입력 2016-12-23 10:22 수정 2016-12-23 12:25
쌍둥이 임신부가 단태 임신부 보다 각별이 조심해야 할 합병증은 조산과 임신중독증, 분만 후 출혈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제일병원은 쌍둥이임신클리닉 정진훈, 김문영, 곽동욱 교수팀(
사진 왼쪽부터)이 2015년 다태임산부 380명과 단태 임산부 4869명을 대상으로 합병증 위험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결과 쌍태 임산부의 임신중독증 발병률은 8.4%로, 단태임신 1.6%에 비해 5.3배나 높았다.

분만 후 출혈로 인한 수혈의 비율 역시 단태 임신부의 경우 1.6%에 그친 반면 쌍둥이 임산부의 비율은 7.1%로 4.4배나 높게 조사됐다. 특히, 임신 37주 미만에 출산한 조산 비율은 42.9%로 단태 5.7%보다 7.5배가 높아 눈길을 끌었다.

조산에 따른 신생아 합병증 또한 다태아 임신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태아 신생아 중 중환자실 치료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가 단태아 보다 3배 가량 높았다.

김문영 교수는 “다태 임신부에게 높게 나타나는 조산, 임신중독증, 출혈은 임산부와 태아의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이라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임신 기간 중 철저한 산전관리 뿐”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쌍둥이 임신의 경우 임신 초기 융모막과 양막의 수를 진단하는 것이 예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되기 때문에 임신 초기 정밀한 산전 검사가 필수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진훈 교수는 “이란성 쌍태아는 모두 두 개의 융모막이며, 일란성 쌍태아는 단일 융모막(75%)이거나 두 개의 융모막(25%)이 모두 가능한데, 단일융모막 쌍태아가 두 개의 융모막 쌍태아보다 임신의 결과가 더 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단일 융모막 쌍태아의 임신 예후가 더 나쁜 이유는 한 개의 태반을 두 태아가 공유하기 때문에 태반의 혈관문합을 통하여 혈류의 불균형의 가능성이 있어 쌍태아간 선택적 성장 불일치, 쌍태아간 수혈증후군, 무심 쌍태아 등의 특이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중추신경계와 심장의 기형 발생률도 단일 융모막 쌍태임신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만큼, 융모막 진단에 가장 적당한 시기인 임신 7~ 9주에 초음파로 융모막과 양막의 수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곽동욱 교수는 “특히, 일란성 쌍태임신부는 조산을 예측하고 다른 합병증을 조기발견 하기 위해 반드시 중기 이후에도 산과 전문의로부터 정기적인 산전관리를 받아야 한다”며 “임신 16주부터는 2주 간격으로 각 태아의 양수량와 크기,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임신 20~22주 사이에는 심장 정밀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