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공요금 잘 내도 신용등급 상승…올해 5500명 올라

입력 2016-12-21 08:24
올해 통신·공공요금을 제 때 납부한 5500명의 신용등급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개인신용조회회사(CB)에 통신요금과 공공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의 납부 실적을 6개월 이상 제출하면 신용평가에서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도입한 결과다. CB사는 소비자의 성실 납부기간에 따라 5~15점을 부과하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21일부터 11월까지 CB사에 비금융거래정보를 제출한 금융소비자는 모두 6만5396명으로 85.7%는 신용평점이 올랐다. 이중 5553명은 신용등급까지 상승했다.

등급별로는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7등급에서 은행 문턱을 넘을 수 있는 6등급으로 오른 경우가 29%로 가장 많았다.

납부 실적 제출 건수는 건강보험(41%)과 국민연금(40.6%)이 주를 이뤘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CB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 확인만 거치면 납부실적이 자동으로 접수된다.

반면 통신요금 자료는 팩스 등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비중이 14.4%에 그쳤다.

금감원은 통신·공공요금 납부실적을 제출한 소비자가 신용평가 때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내년 상반기 중으로 가점 상승 폭을 확대하고 납부실적을 여러 건 제출하면 가중치를 주는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소비자가 직접 6개월마다 자료를 내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통신회사나 공공기관이 직접 CB에 납부정보를 제공토록 하는 방안도 해당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