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진 “친박계 사전모의 의혹, 문제삼지 않겠다”

입력 2016-12-20 09:45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 뉴시스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은 20일 친박계 이완영·이만희 새누리당 의원이 최순실 측근들을 만나 국조특위 청문회 질의응답을 '사전 모의' 했다는 의혹과 관련,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수없이 많은 헌정 파괴 행위가 있는데 위증, 사보임 문제로 흘러가면 쟁점이 태블릿PC로 좁혀지고, 이는 오히려 친박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순실 국조특위' 국민의당 간사인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같이 말한 뒤, "저는 어제 (새누리당 측에) '이완영·이만희 의원 두 사람을 당에서 적절하게 사보임하라'고 요구했고, 사보임 않는다고 해도 쟁점삼지 않겠다고 전했다. 다만 22일 '5차 청문회' 이후 별도로 그와 관련한 청문회를 열 지를 추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순실 국정개입이 말로만 무성했는데 JTBC가 태블릿PC를 발견하면서 비선실세 증거가 확인됐다. 그래서 지금 태블릿PC의 증거능력을 시비 거는 것"이라며 "최순실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려는 것이고, 최순실 소유가 맞다 하더라도 고영태가 훔쳐 방송국에 갖다준 것이기 때문에 법적 증거로 쓸 수 없다는 취지로 주장하려고 이완영·이만희 의원이 위증교사 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두 의원은 만났지만 위증교사는 전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위증교사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면서도,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간사와도 통화했는데, 태블릿PC의 입수 경위가 청문회의 쟁점으로 가선 안된다는 데에 의견 일치를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22일 '5차 청문회'에 우병우·최순실·안종범 등 여러 증인이 채택됐는데, 위증교사 했느냐 논의가 반복되면 배가 산으로 간다"며 "위증 문제는 나중에 특검에서 밝혀내 처벌하도록 하고, 청문회 사보임도 요구하지만 크게 쟁점 삼아 다투지는 않겠다. 청문회 본질에 충실하자"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