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지점을 특정할 수 없어 화재 원인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
지난달 30일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는 4지구 남서편쪽 통로 근처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화재 원인은 일 수 없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감식 결과가 나왔다.
국과수는 16일 화재사건 수사전담팀(팀장 대구중부경찰서장)에 통보한 감정서에서 “불이 시작된 곳을 꼭 집어 말하기 어렵지만 불이 난 모습과 CCTV 영상, 전기요인 등으로 미뤄 4지구 건물 남서편 통로 셔터를 중심으로 건물 입구와 바깥쪽 부근에서 최초로 발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또 “발화 지점을 특정할 수 없어 화재 원인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며 “전기 합선 등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장 조사만으로는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프링클러, 지하 저수조 등을 확인한 결과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기능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국과수는 노점상에서 불이 났다는 주장과 관련해 “CCTV 영상을 보면 불이 시작되는 때에 노점상은 연소하지 않았고 가스누출과 관련한 폭발 형태와 집중적인 화재 흔적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4지구 건물 쪽에서 노점 쪽으로 접근한 화염에 의해 연소하다가 멈춘 형상이 뚜렷한 점으로 미뤄 노점상에서의 발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경찰은 “국과수 감정서를 정밀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향후 수사 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서문시장 화재 감식팀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중부경찰서, 소방서, 전기안전공사, 화학안전공사 등 40여명의 유관기관 관계자로 구성됐다.
이들은 서문시장 4지구의 발화 지점과 원인 등을 규명키 위해 지난 1일 조사에 착수, 연소 잔류물과 전기 배선 등을 수거해 국과수에 정밀 분석을 의뢰했다.
하지만 화재 당일 야간 근무한 4지구 경비원들이 “경보가 울리고 (상가)복도와 내부를 확인했지만 불이 나지 않았다”며 “(외부)노점상에서 발화된 것 같다”고 진술해 이견을 보여 왔다. 때문에 이번 감식 결과로 인한 상인과 경찰 측 갈등 격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문시장 4지구는 지난달 30일 오전 2시8분쯤 화재가 발생해 건물 3분의 2가 무너지고 점포 800여개가 불에 타 1000억원 상당의 재산피해를 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대구 서문시장 화재는 상가 4지구 통로근처에서 시작....정확한 원인은 못밝혀
입력 2016-12-16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