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영 전 조선일보 주필도 ‘박근혜 사찰’ 표적?

입력 2016-12-16 09:57

새누리당 이혜훈 의원이 박근혜정부의 양승태 대법원장 사찰 의혹과 관련해 “송희영 전 조선일보 주필도 사찰 대상이었을 것”이라고 의표를 찍었다.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약점을 잡기 위해 사찰한 대상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의원은 1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가진 인터뷰에서 “한 신문사가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을 처음 보도한 뒤 그 신문사의 핵심인사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외국에서 요트를 탔다, 전세기를 탔다, 이런 이야기가 자세하게 나왔다”며 “우리 당 의원이 그걸 폭로했다. 거의 10년 전에 일어난 사안도 있었다. 그 의원이 외국에서 요트를 탄 사진까지 (송 전 의원을) 따라다니면서 찍었을리 만무하지 않겠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여기서 신문사 핵심인사는 송 전 주필, 우리 당 의원은 새누리당 친박계 김진태 의원이다. 김 의원은 지난 8월 “송 전 주필이 2011년 9월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연임 로비 목적으로 2억원 상당의 초호화 유럽여행을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제공받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요트 사진 등 관련 자료를 공개했다.

 김 의원은 당시 자료의 출처를 공개하진 않았다. 그는 ‘청와대와 국정원에서 자료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에 “기자들은 취재원을 밝히는가. 왜 나에게만 출처를 밝히라 하는가”라고 반박했다. 당내 동료 의원들에게도 송 전 주필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다.

 당시 정계에서는 ‘우병우 민정수석 의혹’을 보도한 조선일보에 대해 청와대가 공세를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 의원은 “(김 의원의 자료는) 미리 확보한 정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그 옛날, 국회의원이 되기도 전에 그런 일이 있을 것을 미리 알고 프랑스 등 외국을 따라다니며 이런 사진을 찍어두셨겠느냐”고 강조했다.

 양승태 대법원장 사찰 문건을 작성한 주체가 국가정보원(국정원)이라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 의원은 “사정기관에서 근무했던 특조위원들을 비롯해 많은 전문가들은 이 문건을 보고 국정원의 것이라고 거의 확언한다. 작성 기관은 국정원으로 보인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국정원은 (문서에서) 워터마크라는 특별한 기법을 쓴다고 한다. 육안으로는 원본에 전혀 보이지 않던 글씨가 복사하거나 외부로 유출될 때 복사지에 글씨가 크게 나온다는 것이다. 이번에는 (워터마크가) ‘차’라고 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그 문건을 보니 대외비라고 도장이 찍였다. ‘2014년 2월 7일 한 파기’라고 돼 있었다. 그렇게 문서를 처리하는 곳은 국정원이라고 전문가들은 얘기한다. 국정원에서 작성돼서 청와대로 보고됐다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