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수 전 청와대 특별감찰관은 15일 미르·K스포츠재단의 강제 모금에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관여했다는 의혹과 관련, "그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전 감찰관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조특위' 4차 청문회에 참석해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미르·K스포츠재단'으로 들어온 돈은 결국 박 대통령이 받은 것으로 봐야하지 않냐"는 이용주 국민의당 의원의 질문에는 "나중에 이게 발각되지 않고 시간이 오래갔을 경우에 궁극적으로는 이 재단의 소유관계를 가지고 분규가 일어날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전 감찰관은 "육영재단도 소유관계로 오랜 송사가 있었다. 박근령이 빚이 많은 것도 송사에 따른 빚이라는 말이 있다"며 "(미르·K스포츠) 재단도 필시 불미스러운 일이 있지 않을까 우려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두 재단이 퇴임 후 박 대통령이 운영할 재단으로 볼 수 있는 성격이 있냐"는 물음에도 "그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 전 감찰관은 박 대통령의 강제 모금 의혹을 조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당시 특감실의 역량으로는 당장 감찰을 시작하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나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