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SBS ‘그것이 알고 싶다-대통령의 시크릿’ 방송을 막기 위해 SBS 고위 경영진과 접촉하려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14일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윤창현 언론노조 SBS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언론장악 부역자 명단 발표’ 기자회견에서 “청와대가 세월호 7시간 보도를 통제하려 했던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윤 본부장은 “제가 확인한 바로는 ‘그것이 알고 싶다’의 ‘대통령의 시크릿’ 편과 관련해 허원제 수석이 당시 SBS 고위 경영진을 접촉하려고 했던 것으로 파악됐다”며 “SBS 경영진들이 (만남을) 거부해서 성사되진 못했지만 청와대가 세월호 7시간 보도를 통제하려 했던 정황으로 의심한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정무수석인 허 수석이 언론사 인사를 만날 이유가 없다며 “방송이 나간 뒤로는 연락이 없었다고 한다. 청와대가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도 언론을 통제하고, 자기네 입맛대로 언론을 끌고 가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19일 방송된 ‘그것이 알고 싶다-대통령의 시크릿’은 미궁에 빠진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을 다뤘다. 해당 방송이 예고편부터 폭발적인 관심을 받자 청와대는 방송 전날 부랴부랴 세월호 참사 당일 시간대별 대통령의 행적을 공지했다.
윤 본부장은 또 김성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매일 정부 비판 기사를 모니터하고, 취재기자에게 직접 압박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가운데서도 SBS 보도를 가장 먼저 검토했던 것으로 안다”며 “특히 사드 배치와 관련한 비판 보도에 대해 김 전 수석은 직접 취재 기자에게 전화를 걸어 압력을 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윤 본부장은 이어 “국정농단의 핵심인사인 안봉근 전 비서관이 근무하던 시기와 김 전 수석으로 홍보수석이 교체되던 시기와 일치한다”며 “김 전 수석이 안봉근을 통해 비선실세 최순실과 연관돼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