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미 대선 이후 15번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2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날보다 39.58포인트(0.20%) 오른 1만9796.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57포인트(0.11%) 내린 2256.96에, 나스닥 지수는 31.96포인트(0.59%) 떨어진 5412.54에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회의를 하루 앞두고 다우존스 지수가 고점을 높인 반면 대형주 및 기술주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이 1.08% 오르며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유틸리티도 1.02% 올랐다. 에너지와 헬스케어, 부동산 등이 강세를 보였으나, 금융과 산업, 소재, 기술 등은 하락했다.
국제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 비회원국들의 감산 합의에 힙입어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장보다 배럴당 1.33달러(2.6%) 오른 52.83달러에 마감했다. 유가는 2015년 7월 이후 최고치이다.
앞서 러시아 등 11개 OPEC 비회원국은 지난 주말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의를 갖고 일일 평균 55만8000배럴의 원유 생산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비회원국 중 최대 산유국인 러시아는 일일 30만배럴을 감산할 방침이다.
<뉴시스>
뉴욕증시, 美통화정책 앞두고 혼조세… 다우 사상 최고치
입력 2016-12-13 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