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동성애 확산 전략 소개한 서울시

입력 2016-12-06 12:52
스네 라오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예산국장이 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6 서울 인권콘퍼런스’에서 동성애 옹호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시가 인권 보호·증진 모범사례로 동성애 옹호·조장활동을 왕성하게 펼치는 미국 동성애자 자문위원회의 활동을 소개했다. 


 서울시는 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6 서울 인권콘퍼런스’에서 지자체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시킨다는 목적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LGBT자문위원회 핵심관계자를 초청해 동성애 옹호·조장 정책을 청취했다. LGBT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의 약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예산국장과 인권위원회 고위 정책자문관을 겸임하는 스네 라오 국장은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은 경찰법과 시 행정법 등을 통해 성적취향 성정체성 등의 이유로 주거 고용 공공시설 이용에 차별을 받지 않는다”면서 “만약 차별행위가 발생하면 인권위원회가 조사하고 조치를 취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LGBT자문위원회는 1975년 출범했으며, 동성애자 차별에 대한 자문을 해주고 있다”면서 “위원회는 신체적 성과 달리 다른 성적 정체성을 갖고 있다면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탈의실과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오 국장은 “위원회는 고등학교 정치 역사 문화 교육과정에 동성애와 관련된 내용을 넣고 있다”고 덧붙였다. 

 라오 국장의 설명에 따르면 위원회는 LGBT 이슈 청취 및 정책 개발, 양성애자 정체성 연구, 간성 치료, 동성가구 보고서 작성, 노년 동성애자의 자유로운 노인 요양병원 이용방안 연구, 폭력에 노출된 트랜스젠더 보호,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게이 헌혈금지 조항 부당성 제기 등을 하고 있다.

 그는 “LGBT자문위원회가 출범할 수 있었던 것은 샌프란시스코 내 동성애자들이 자신들만의 권리를 위한 정책을 담당하는 인사를 세워달라는 요구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라오 국장은 “5년 전이나 지금이나 동성결혼은 일반 대중이 좋아하는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시에서 동성결혼이 가능했지만 이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주정부 차원에서 동성결혼을 반대하려는 법안을 만들려 했다. 우리도 법적으로 대응했고 결국 법안은 무산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법과 문화를 앞세운 동성애 문화 확산 전략도 소개했다. 라오 국장은 “게이 남성과 게이 커플을 드라마에 등장시켜 주류 대중문화에 편입시킨 것도 동성애자의 권리 확보에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동성결혼 합법화는 아주 불리한 싸움이었지만 많은 것을 달성했다. 이처럼 법과 문화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미국에서 동성애 예방활동을 하고 있는 김태오 티비넥스트 대표는 “라오 국장이 활동하는 샌프란시스코 인권위는 미국 내 동성애자 권리를 위해 뛰고 있는 가장 강력한 조직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서울시가 인권콘퍼런스를 개최한다며 미국에서 동성애 문화 확산의 최전선에 있는 인사를 초청했다”면서 “서울시가 동성애를 적극 옹호·조장하는 샌프란시스코를 따라가겠다는 뜻이냐.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