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유섭 의원(인천 부평갑)이 5일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은 7시간 동안 놀아도 된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고 있다.
정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에서 “야당에서 ‘세월호 7시간’을 탄핵소추안에 넣은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세월호 7시간이 중요한 게 아니다. 대통령은 총체적인 책임은 있지만 직접적 책임은 없다”면서 “직접적 책임은 현장 대응능력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은 7시간 동안 아무 것도 안 해도 된다”면서 “현장 책임자만 잘 임명하면 대통령은 노셔도 된다”고도 했다.
정 의원은 또 “전두환 정권 때 경제가 왜 됐냐”며 “대통령이 관심 없어서 잘 된 것이다. 임진왜란 때도 선조가 전쟁하는 것이 아니다. 이순신 장군이 전쟁하는 것이다. 잘 임명하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권에서 제기한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의 부실 대응에 대한 박 대통령 책임론에 대한 반박이지만, 국가적 재난에 대한 대통령의 책임을 지나치게 가볍게 해석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정 의원은 “내가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대통령이 2013년 3월에 세월호가 취항했는데, 당시 여객선 안전관리를 책임지는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윤진숙씨를 낙점해 많은 사람을 ‘멘붕(멘탈 붕괴)’에 빠뜨린 점”이라며 “안 된다는 사람만 골라서 인사를 했기에 세월호 관리가 안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당 이용주 의원과 정의당 윤소하 의원이 강하게 항의하자 정 의원은 전체회의 종료 후 신상발언을 통해 “(발언의) 진의는 (대통령이) 제대로 인사를 잘 해달라는 뜻이었다”고 해명했다.
정 의원은 인천해양수산청장과 한국해운조합 이사장 등을 역임한 해양 전문가 출신으로 지난 4·13 총선에서 처음 국회에 입성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