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자치단체장 비서들의 전횡이 잇따르고 있다. 기초·광역단체에서 비서실장과 비서관 가릴 것 없이 비리에 연루돼 사법당국의 철퇴를 맞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연결고리가 된 청와대 문고리 3인방 비서진들의 축소판인 셈이다.
관공서 납품비리를 수사 중인 광주지검 특수부(부장검사 노만석)는 2일 뇌물을 받고 구매담당 공무원들에게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로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전 비서관 김모(57)씨를 구속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비서관은 지난해부터 광주시청 각종 물품 납품과정에서 해당 공무원들을 압박해 자신에게 뇌물을 준 16개 업체가 40건의 납품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한 혐의다. 검찰은 김씨가 1억6000만원을 받은 혐의가 포착된 모 브로커를 통해 뇌물을 전달받아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앞서 김 전 비서관의 친척을 포함한 가구·인쇄 업체 관계자 3명은 브로커 역할을 하며 납품 계약 알선을 대가로 업체로부터 수천만∼수억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바 있다.
김 전 비서관은 윤 시장의 인척으로 광주시 관급공사 수주 과정에 개입한 혐의(특가법상 알선수재)로 먼저 구속 기소된 광주시 김모(63) 전 정책자문관의 동생이다.
민선 6기 직후인 2014년 7월부터 근무해온 김 전 비서관이 이날 구속됨에 따라 윤 시장의 인척이자 형제가 이례적으로 구속되는 사례로 남게 됐다.
검찰은 또 이날 관급공사 수주를 대가로 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전남 장흥군수 위모(46)비서실장도 구속했다. 검찰은 6급 별정직 공무원인 위 비서실장이 관급공사 입찰 과정의 편의 등을 대가로 업체로부터 5회에 걸쳐 2000여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선출직 단체장의 권한에 빌붙어 호가호위한 사례는 이뿐 아니다. 광주 광산구청장 박모 전 비서실장도 조명설비 제조업체인 K사로부터 돈을 받고 납품계약을 도와준 혐의로 지난 1일 구속 기소됐다. 박 전 비서실장은 2014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9차례에 걸쳐 3800만원을 챙긴 혐의가 불거졌다.
직장인 송정기(51)씨는 “비서들이 단체장의 귀와 눈을 가리고 비리의 주체가 된다면 풀뿌리민주주의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라며 “일반 범죄자보다 더욱 엄격한 처벌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자치단체장 비서 등 측근들의 비리는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다”며 “사법당국에 적발된 비리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소문도 들린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문고리 3인방 못지 않은 지자체장 비서들의 전횡…지방권력 호가호위한 비서 잇따라 구속
입력 2016-12-02 21:46 수정 2016-12-02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