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검 “대통령 대면조사하고 사이비종교 문제도 수사… 채동욱 특검보 고려 안해”

입력 2016-12-02 10:36 수정 2016-12-02 10:38
박영수 특별검사가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장을 받기 전 통화를 하고 있다. 곽경근 선임기자


최순실씨 등의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할 박영수(64) 특별검사는 박근혜 대통령 조사의 기본 원칙은 서면이 아니라 '대면 조사'라고 강조했다.

박 특검은 2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박 대통령 조사 방법과 관련, "대면조사를 가이드라인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특검조사에 응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우리와 약속한 것이 아니라 국민하고 약속한 것"이라며 "대통령이 그걸 깨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대국민 담화 당시 검찰 조사에 응하겠다고 한 뒤 말을 바꾸지 않았냐는 질문에는 "그때는 특검조사는 받겠다는 취지"라며 "대통령이 그걸 거부하리라고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강제수사 여부에 대해서는 "강제수사 여부는 지금 논란이 많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박 특검은 "대통령이 과연 피의자인지 참고인인지는 사건을 인계받아서 검토한 후 결정을 해야 할 문제"라며 "(피의자 단계인 것이 확정돼도) 소추를 전제로 하지 않는 강제수사가 가능하느냐는 생각을 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세월호 침몰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해서는 "국민이 제기하는 가장 큰 의혹 중 하나"라며 특검의 수사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박 특검은 또 최순실씨 등의 국정농단사건과 관련해 불거진 유사종교 문제에 대해 "조사 과정에서 유사종교적인 문제로 여러가지 사건이 파생됐다면 당연히 들여다봐야 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그는 이어 "최태민이라는 사람으로부터 범죄가 발생했다면 들여다봐야 된다"면서도 "유사종교를 다루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수사"라고 강조했다.

박 특검은 특검보 및 파견 검사 인선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중 법무부와 검찰에 특검에 합류할 파견검사 20명 중 10명을 우선 요청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그는 이날 오전 서초동 변호사 사무실에 출근하며 "파견 검사 10명을 먼저 요청해 1차로 기록 검토를 시키고, 워밍업을 시킨 다음에 나머지 10명을 추가로 요청할 계획"이라며 "(두 번의 요청 사이에) 시차는 별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0명 규모의 파견검사에는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지검장)에서 수사를 이끈 일부 부장검사가 포함될 전망이다. 박 특검은 "전혀 모르는 사람이 보면 기록 검토하고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상당히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수사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그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수사팀과 특검을 연결하는 중간 역할을 담당할 특검보 인선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재판이 끝날 때까지 특검보로 근무를 계속해야 한다는 점, 중대한 사건 수사에 대한 부담 등을 이유로 합류를 부담스러워하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거론되는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특검보 인선에 대해서는 "고려를 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검찰총장을 했던 사람이 특검보로 온다는 건 맞지 않다"는 이유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