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변한 비박계 “朴 대통령, 4월 퇴진 약속하면 탄핵 철회”

입력 2016-12-01 10:31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 뉴시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시기에 대한 여야 협상 불발시 12월9일 탄핵 절차에 돌입하겠다던 새누리당 비박계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당초 퇴진 시기에 대한 여야 협상이 불발되면 9일 탄핵안 찬성 표결에 나설 것이라고 했던 것과 달리, '여야 합의 불발시 의원총회에서 퇴진 시기를 당론으로 정해 박 대통령에게 확답을 듣자'는 조건이 붙는가 하면, '박 대통령이 4월30일 퇴진 의사를 밝히면 탄핵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느냐'는 발언까지 나왔다.

비박계 수장 김무성 전 대표는 1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전격 회동을 갖고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시점에 대해 논의했으나 합의를 보지 못했다.

김 전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4월말 박 대통령의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을 하지 않고 그것으로 우리가 합의하는 게 좋지않겠냐는 제안을 했지만 추 대표는 1월말 퇴임을 해야한다고 주장해 합의를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그러면서 "오늘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는 여야가 합의해서 대통령 퇴임시기를 4월30일로 못박자는 게 제일 좋고 여야 합의가 안 되면 새누리당 의총에서 4월30일 퇴임할 것을 의결해서 박 대통령의 답을 듣자고 했다"며 "만약 그것이 안 될 경우는 9일 탄핵의결에 참석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내렸다"고 설명했다.

비박계 정병국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새아침'에 나와 "여야3당이 합의를 해 퇴임 일정을 정하고, (대통령이) 그것에 따라 하겠다고 하는데 우리가 굳이 이 불확실한 탄핵을 추진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생각 아니겠느냐"며 "일단 국회는 빨리 이것을 정리해 다시 대통령에게 돌려주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 역시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나와 '박 대통령이 내주 4차 기자회견에서 퇴진 시기를 밝히면 탄핵은 하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제일 중요한 것은 국민여론"이라며 탄핵 반대 가능성을 열어놨다.

권 의원은 "대통령이 물러나겠다고 했으니 이제 어떻게 물러나게 할 것인지 국회에서 논의를 해 책임총리도 거국내각도 구성하고, 대통령이 2선 후퇴도 해 정국 수습 방안이 마련하라는 여론이 지금보다도 훨씬 우세하고 비등하면 그쪽(탄핵 반대)을 따라가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박계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 대변인 황영철 의원은 이날 오전 비상시국회의 직후 브리핑을 갖고 '야당이 끝까지 퇴진 시기 협상을 하지 않으면 9일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냐'고 묻자 "지금 상황에서는 야당에 협상에 임하라고 강력히 촉구한다. 그 이후는 상황에 따라 말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여야 협상 불발시 9일 탄핵 절차에 돌입한다는 원칙에서 변한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거듭되자 "여러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여러 상황을 보면서 향후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