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도지사는 30일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따른 사퇴 로드맵과 관련해 개헌 문제가 "대선을 치른 이후에 개헌 논의를 해야 한다고 본다"며 정치권이 탄핵 추진에 우선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정치권에서 너무 편의적으로 개헌 문제를 접근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이 국면에서 개헌이나, 개헌을 통한 임기단축이라는 문제는 이 촉박한 기간 내에 책임 있게 논의할 수가 없다"며 "개헌 논의가 이 국면에서 끼어들면 개헌은 개헌대로 졸속이 되고, 국면은 국면대로 더 어지러워져서 국정의 질서 있는 정리보다는 더욱 더 많은 혼란만 야기시키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사퇴한다고 해도, 향후 선거일정까지 관리할 과도내각과 사퇴시점을 의회 지도자들과 상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야 선언 후 즉각 60일 이내 대선이 치러지는 상황은 힘들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매우 무책임한 일"이라고 답했다.
그는 "의회 내에서 다양한 국정공백을 막기 위한 논의는 논의대로 해야 한다. 모든 것은 열려 있다"면서도, "다만 의회가 해야 할 탄핵 추진에 대해서는 (의회의) 의무인 만큼 추진을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박 대통령이 자신의 사퇴 문제를 '여야 합의'로 떠넘긴 데 대해 "그 문제는 대통령이 자기 입장을 분명히 얘기해서 넘겨야 한다"며 "지금 대통령이 무엇을 잘못한 게 있느냐고 계속 버티고 있고, 집권여당이 존재하고 있는데, 국회에 그 일정을 맡기겠다고 하는 것은 당장 탄핵을 피해보자고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은 엊그제 경찰 인사까지 다 했다"며 "실질적으로 지금 현재 이 상황에 대해 국민들이 얼마나 분노하고 있고 국정이 얼마나 위중한지 청와대가 전혀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아울러 "이 국가적인 혼란과 국정공백을 책임 있게 풀고자 한다면 어제 같은 담화는 안 하셨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