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코스터 타는 정치테마주…변동률 3배 높아

입력 2016-11-30 09:09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테마주 관련 루머가 기승을 부리면서 주가도 급등락하고 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총선 이후 이달 중순까지 주요 정치인과 관련된 60여개 종목의 정치테마주를 분석한 결과 주가변동률이 32.3%로 시장 평균(11.8%) 대비 약 3배 높았다.

강전 특별조사국장은 "정치테마주 주가는 코스피, 코스탁 지수의 추세와 크게 벗어나는 등 시장상황과 무관하게 정치이슈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하며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정치테마주의 주가는 변동성이 크고 예측이 어려워 일반투자자 입장에서 투자위험이 매우 높은 편이다"고 경고했다.

특히 기업의 펀더멘털과 상관없이 특정 정치인과 학연, 지연 등으로 얽혀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주가가 오르는 상황을 경계해야 한다.

금감원은 사실이 아니거나 단순한 인맥으로 테마가 형성된 경우 주가 급락으로 손실을 볼 수 있다며 테마의 실체를 확인한 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거래가 급증하는 종목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한 이유없이 풍문만으로 거래가 급증하는 경우 단타매매 등 투기세력의 공격대상이 되고 있는 종목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정치테마주는 주가예측이 어렵고, 미미한 정치 상황의 변화에도 주가가 급락할 수 있으므로 이미 주가가 급등한 종목에 대한 추종 매수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자제하는 것이 좋다.

금감원은 일반투자자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공정거래 조사단서 확보를 위한 집중 제보기간도 내년 2월까지 운영한다.

종목과 위반자, 장소, 일시, 방법 등 불공정거래의 내용을 되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증거자료가 있는 경우 함께 제출해야 적발하는데 용이하다.

포상금 규모는 최대 20억원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공정거래를 적발하는 데에는 투자자의 제보가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며 "부정한 목적 없이 단순히 허위사실이나 풍문을 유포한 경우에도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해당돼 과징금을 부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