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시민단체 “朴 대통령 담화 꼼수”… 보수단체 “다행”

입력 2016-11-29 16:16
사진공동취재단

임기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제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는 대체로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검찰 조사를 받겠다고 했다가 번복했던 전례가 있던 대통령이 탄핵 국면을 탈출하려고 꼼수를 부리는 것이라면서 즉각 퇴진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500여개 시민사회단체의 연대체인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 이주용 정책국장은 29일 박 대통령 담화 직후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국회에 공을 떠넘긴 면피용에 불과하다"고 혹평했다.

이 국장은 "그간 드러난 의혹에 대해 대통령의 잘못은 없고 모두 공익을 위한 것이라고 한 대목은 변호인(유영하 변호사)이 그간 해왔던 말과 일치한다. 대통령을 공범이라고 본 검찰 수사에서 빠져나가려는 전략으로 보인다"면서 "국회 결정과 법 절차를 따르겠다고 한 부분 역시 결과적으로는 하야할 뜻이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언급했다.

퇴진행동 측은 오는 30일 총파업·동맹휴업 등 시민 불복종 행동과 12월3일 6차 촛불집회를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참여연대 안진걸 공동사무처장도 "변명으로 일관하면서 자신의 많은 범죄와 엄중한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억울하다는 식의 궤변을 일삼아 또 한번 국민을 기만했다"면서 "대통령 본인이 주범이라는 것이 다 밝혀지고 계속해서 더 심각한 범죄들이 추가로 밝혀지고 있는데도 남 탓만 하고 있는데 누가 이(국회 결정에 따르겠다)를 납득하겠는가"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더이상 국민을 괴롭히고 나라를 더 큰 혼란으로 만들지 말고 즉각 퇴진하는 것이 유일하고 가장 좋은 해법"이라고 단언했다.

경제정의시민연합통일협의(경실련) 김삼수 정치사법팀장은 "추위에도 거리로 나간 국민들의 요구가 즉각적인 퇴진이었다는 점에서 대통령은 이를 거절하고 국회에 떠넘긴 것"이라며 "경제 위기에 민생 파탄이 난 상황에서 국회에 맡긴다고 하더라도 조기 수습은 어렵다. 즉각적인 퇴진만이 답이다"라고 강조했다.

반면 보수단체는 담화 내용을 긍정 평가하며 국회가 박 대통령 탄핵 대신 '질서있는 퇴진'을 위해 뜻을 모아줄 것을 요구했다.

시대정신 홍진표 상임이사는 "탄핵 외 다른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내용상으로는 하야로 보여진다"면서 "늦은 감이 있지만 다행스럽다. 대통령의 뜻을 받아들여 질서있는 퇴진을 위해 여야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이옥남 정치실장은 "거취 해석에 있어 다소 갈리겠지만 결국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고 한 점은 다행"이라고 판단했다.

선진사회시민행동 서경석 목사는 "대통령이 3차 담화를 내게 된 것이 아쉽다"면서 "최순실씨와의 관계에 있어 공과 사 구분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은 잘못이나 탄핵 사유로는 보진 않는다. 여야가 협의해 질서있는 퇴진 일정을 정하면 될 일"이라고 밝혔다.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박사모) 정광용 회장은 "가슴이 찢어지는 심정이다. 왜곡된 소문과 루머로 대통령을 끌어내리는 나라가 어딨냐"고 한탄했다. 박사모는 6차 촛불집회때 광화문 광장에서 맞불집회를 강행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