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전환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과 해외증시 상장의 기대효과 등 주주가치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업의 최적 구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전략, 운영, 재무, 법률, 세제 및 회계측면에서 다양하고 중요한 사안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여러 단계에 걸친 장기간 검토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이에 대해 외부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의뢰해 함께 협업하고 있으며, 검토하는 데 최소 6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지주회사를 포함해 기업의 최적 구조를 검토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 10월 발표한 주주환원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주주가치를 더욱 제고하기 위해 다섯 가지의 개선된 주주환원 정책을 마련했다.
첫째, 삼성전자는 2016년과 2017년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50%를 주주환원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는 2015년 잉여현금흐름의 30~50%를 주주환원에 활용하겠다고 발표했던 내용에서 한층 더 강화된 주주환원 정책이다.
둘째, 삼성전자는 2016년 총 배당 규모를 지난해 3.1조원 대비 30% 증가한 4조원 규모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셋째, 삼성전자는 2016년 잉여현금흐름의 50% 중에 배당을 한 후에 남는
잔여재원은 2015년에서 이월된 잔여재원 0.8조원과 합해서 2017년 1월말부터 시작될 자사주 매입에 사용할 예정이다. 매입하는 주식은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넷째, 2017년 1분기부터 분기별 배당을 실시할 계획이다.
다섯째, 삼성전자는 2018년 이후의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도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며, 세부적인 사항은 지주회사에 대한 검토 결과가 나온 이후에 결정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감안하고 이사회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외국 기업에서 근무한 경험을 가진 새로운 이사들을 선임할 계획이다.
현재 외부 전문기관 등을 통해 추천된 다양한 경험의 후보자들을 검토하고 있으며, 2017년 정기주주총회에서 글로벌기업의 CEO 출신의 사외이사를 1명 이상 추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사회에 거버넌스 위원회를 신설해, 기업지배구조 관련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거버넌스 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며, 현재 CSR 위원회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이사회의 결정사항과 제안들을 감독하게 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