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주중대사는 28일 베이징에서 특파원들과 기자간담회를 갖고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이 직접 유선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자료가 없어서 정확한 시간은 모르겠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전화를 받았다”며 “첫 보고는 서면 보고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지시할 만한 상태였냐는 질문에는 “내 보고에 대해 직접 지시하거나 나한테 전화를 걸기도 했다”고 답했다. 이어 “박 대통령과는 오후 2시까지 6~7차례 통화했다”며 “정정 보고에 대해 박 대통령이 심하게 질책했다”고 말했다.
앞서 공개된 청와대 홈페이지의 ‘오보 괴담 바로잡기’ 코너를 보면 박 대통령은 오전 10시 국가안보실을 통해 첫 종합 서면보고를 받았다. 이후 오후 5시15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대책본부(중대본)를 직접 방문할 때까치 총 7차례 지시를 했다. 오전 10시15분과 22분에는 김 대사에게 직접 전화해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국가안보실과 정무수석이 ‘476명이 탑승해 370명을 구조했다’는 잘못된 내용을 잘못 보고해 문제가 됐다.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오후 2시50분 김 안보실장의 정정보고를 받고 그를 심하게 질책한 뒤 오후 3시 중대본 방문 지시를 내렸다.
하지만 중대본에 도착한 대통령이 “구명조끼를 학생들은 입었다고 하는데 그렇게 발견하기 힘든가요?”라는 질문을 하면서 학생들이 갇혀 있다는 기초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김 대사는 “당시 청와대 상황실이 너무 복잡해서 설명하기 어려웠고 상황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탑승자들이 선체에 갇힌 상황에서 선체가 가라앉았다는 사실도 보고했냐는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그는 “상식적으로 보고 내용에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보고를 했다면 중대본을 방문한 박 대통령이 왜 엉뚱한 얘기를 했냐는 질문에는 “듣기로 유리창을 깨서라도 애들을 구하라고 한 것 같은데 정확한 기억이 없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2013년 3월부터 국가가안보실 실장으로 재직하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이후 2014년 5월 옷을 벗었다. 그는 2014년 4월 23일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고 언론에 해명했다가 논란을 빚었다. 2015년 3월부터는 주중 대사로 근무하고 있다.
전수민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