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강만수(71) 전 산업은행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재청구했다. 지난 9월 21일 청구한 구속영장이 같은 달 24일 기각된 지 66일만이다.
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28일 강 전 행장에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배임)과 뇌물수수, 제3자뇌물수수,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재청구했다고 밝혔다.
특별수사단은 강 전 행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이후 "지속적 사익추구형 부패사범"이라고 비판하며 영장 재청구 방침을 세우고 보완 수사를 해왔다.
특별수사단은 지난 25일 강 전 행장을 재소환해 투자 압력이나 특혜 대출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20일에는 또 다른 기업에 대한 특혜대출 정황을 포착하고 산은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강 전 행장은 산업은행 재임 기간 대우조선해양에 영향력을 행사해 지인이 운영하는 바이오업체 B사와 종친 회사인 중소 건설업체 W사에 100억원대 투자를 하도록 한 혐의(배임·제3자 뇌물수수) 등을 받고 있다.
특별수사단은 B사와 W사 특혜 몰아주기는 강 전 행장이 남상태(66·구속기소) 전 사장의 개인 비리를 약점으로 잡고 압박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강 전 행장은 대우조선해양과 비슷한 시기에 약 5억원을 B사에 투자한 한성기업에 관한 혐의도 있다. 임우근(68) 한성기업 회장은 강 전 행장과 고등학교 동창으로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강 전 행장은 기재부 장관이던 지난 2008년부터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한성기업과 한성기업의 모회사인 극동수산이 특혜성 대출을 받도록 은행장들을 임 회장에게 소개시켜주는 등 대출을 청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성기업은 대출 허용기준에 맞지 않는 특혜 대출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2008년부터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인 올해 초까지 여행·사무실 경비를 비롯해 고문료를 포함한 억대의 뇌물을 한성기업 측으로부터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법인카드를 제공받는 등 여러가지 형태로 경제적 이익을 지속해서 받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강 전 행장은 이명박(MB)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MB 정권 실세로 꼽혀왔다. 2011년 3월 산은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으로 부임해 2013년 4월까지 일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