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 참가자 400만명 돌파 … 경찰 집계와 왜 다를까

입력 2016-11-28 08:30 수정 2016-11-28 08:47

5주째 이어진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주말 촛불집회에 연인원 400만명(주최측 추산) 이상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고 계속 버티는 등 정국의 변화가 없다면 1987년 6월 항쟁(연인원 300만~500만명 추정)을 넘어 단군 이래 최대 시위로 기록될 전망이다.

27일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1차 촛불집회부터 이날 5차 촛불집회까지 5차례 시위에 참가한 연인원은 서울 333만명, 지방 76만명에 달한다. 전국적으로 따지면 약 409만명이다.

그중 가장 많은 참가자가 운집한 때는 전날 5차 촛불집회로 서울에서만 주최 측 추산 150만명(연인원)이 거리로 나왔다. 서울 이외 지방 참가자 수는 40만명으로 주최 측은 집계했다.

경찰도 이날 서울 도심 집회 참가자 수를 27만명으로 집계했다. 지방 참가자 수는 6만2500명으로 추산했다. 

참가자 수가 이처럼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경찰과 주최 측의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찰은 1평(3.3㎡)에 성인 4∼6명이 서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집회 장소 면적에 이 인원을 곱해 산출한다. 집회가 시작된 이후 10분 단위로 참가자를 확인해 가장 큰 수치를 최종적으로 발표한다. 참가한 연인원이 아닌 순간 최대인원을 따져 계산하는 방식이다. 경찰 관계자는 “대형 집회의 경우 사진을 확대해 일일이 숫자를 확인한다”고 말했다.

경찰 방식을 따르면 일시적 순간의 인원만 측정되기 때문에 전체 참가자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경찰이 촛불집회 인원을 축소해 발표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두 번째로 참가자 수가 많았던 때는 민중총궐기와 겹친 이달 12일 3차 촛불집회 때다. 당시 주최 측은 서울에서만 100만명이 모였다고 추산했다. 마찬가지로 경찰도 두 번째로 많은 26만명으로 참가자 수를 추산했다.


촛불집회는 참가자는 집회를 거듭할 수록 엄청난 규모로 불어났다. 제1차 촛불집회 당시 주최 측 추산 3만, 2차 20만, 3차 100만명으로 늘어났다. 박 대통령이 국정농단 사태의 몸통으로 드러나면서 시민들의 분노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촛불집회 상황을 수시로 보고 받고 있다고 했지만 퇴진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외침에 아무런 답을 내놓고 있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의 뜻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대통령의 3차 대국민담화 가능성은 현재로선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