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과서를 현장에 3월 적용하는 방안은)원래 추진하기로 한 방안인데 실제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의견을 수렴해 더 좋은 방안이 뭐가 있는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27일 서울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열린 국정 역사교과서 사전설명회에서 "국정교과서 적용 시기를 내년 3월로 확정한 것이냐"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국정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되는 시기가 뒤로 미뤄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다.
국정교과서는 고등학교 '한국사'와 중학교 '역사' 등 2종이다. 앞서 교육부는 오는 28일 국정교과서를 공개한 뒤 한달간 의견수렴을 거쳐 내년 1월 최종본을 확정하고 내년 2월초께 인쇄해 3월중 전국 중·고교 6000곳에 적용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 부총리는 "처음 제시한 시점이 3월"이라면서 "그런 방향(적용 시점)에 대해서는 교육부 입장을 청와대와 조율하고 있고 청와대가 검토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 부총리는 최근 교육부와 청와대가 국정 교과서 추진을 두고 각을 세우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며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될 수 있고 논의를 통해 최종적인 정책 방향을 정하는 것 아니냐"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그러면서도 "청와대 관계자와 만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그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 부총리는 "언제까지 (국정 교과서를)검토해야 혼란이 없겠느냐"는 물음에는 "우리가 12월23일까지 의견을 수렴하도록 돼 있다"며 "그 시점이 될 것 같다"고 했다.
그는 국정교과서 철회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로서 철회 가능성은 없다"며 "철회할 생각이 없다. 좋은 교과서라고 얘기하고 있고 만들어 놨는데 (철회가)말이 되느냐"고 선을 그었다.
또 "열심히 잘 만든 올바른 교과서를 교육현장에 어떻게 잘 적용시킬 것인지 그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언론에서 철회한다는지 이런 표현이 나오는데 아직까지 결정된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국정 역사 교과서와 현행 검정 역사 교과서를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국·검정 혼용 방안 추진에 대해서는 "그런 것도 다 포함해 검토되지만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섣부른 판단을 경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