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승리한 美 대선 위스콘신주에서 첫 재검표

입력 2016-11-27 00:10
도널드 트럼프(왼쪽)와 힐러리 클린턴. AP뉴시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한 경합 3개 주 가운데 위스콘신 주의 재검표가 처음으로 이뤄지게 됐다.

 위스콘신주 선거관리위원회는 25일(현지시간) 제3당 녹색당 대선 후보 질 스타인의 요청을 받아들여 투표 내용을 다시 집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대선 투표 때 위스콘신주에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간 득표율은 0.8% 포인트(2만2525표)의 근소한 차이였다.

 스타인은 다른 경합주인 펜실베이니아주와 미시간주의 재집계도 계속 요구해 관철시킬 방침이다. 위스콘신(선거인단 10명), 미시간(16명), 펜실베이니아(20명) 등 3개 주에서 모두 재검표가 이뤄지고 클린턴이 승리한다면 트럼프는 260명, 클린턴은 276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게 돼 백악관의 주인이 바뀌게 된다.

 앞서 스타인은 대선의 승패를 갈랐던 3개 경합주에 대한 재검표 비용 마련에 나서서 재검표가 현실화할지에 이목이 쏠렸다. 스타인은 “3개 주에서 투표 총계 불일치 현상이 드러나는 등 변칙적인 투표의 증거들을 목도한 만큼 우리는 선거의 온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일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NN과 NBC 등은 미시간 주, 펜실베이니아 주, 위스콘신 주에서 클린턴이 계속 우위를 나타냈음에도 막상 개표결과 트럼프가 승리한 것에 의혹을 보이며 조작·해킹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재검표 추진 사실이 알려지자 성금 쇄도하면서 하루도 채 지나지 않은 당일 자정 무렵 기부금은 2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스타인 측은 각 주의 재검표 비용이 위스콘신 110만 달러, 펜실베이니아 주 50만 달러, 미시간 주 60만 달러 등 220만 달러이며, 여기에 변호사 비용 200만∼300만 달러와 재검표 참관인들의 참관비용을 합하면 최대 600만∼700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성금이 쇄도하자 스타인은 재검표에 필요한 추가 제반 비용까지 계산해 목표액을 400만 달러로 한 차례 올렸고, 이어 다시 700만 달러로 재차 끌어올렸다. 현재 모금액은 500만 달러를 넘어선 상태다.

 하지만 미국 언론은 재검표를 통해 대선 승패가 뒤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WP는 이날 ‘왜 재검표가 대선 결과를 바꿀 가능성이 없는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개표 조작론에 대해 “위스콘신과 펜실베이니아 주는 대선 이전 여론조사에서 클린턴이 트럼프에게 최대 6%포인트까지 앞선 곳”이라며 “만약 누군가 선거를 조작할 계획이었다면 초박빙이던 플로리다 등을 제외하고, 굳이 두 주를 선택할 이유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재검표를 통해서는 전자투표기기 해킹 여부를 검증할 수도 없다”며 “이 때문에 많은 클린턴 지지자들은 재검표가 시간 낭비일 뿐이라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