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운영기관인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통합 노사정 협의서가 양사 노조 투표에서 가결돼 통합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서울지하철 노·사·정 대표자협의회가 도출한 협의서에 대해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양공사 3개 노조가 조합원 투표를 실시한 결과, 모두 가결됐다고 23일 밝혔다.
서울메트로 제1노조인 서울지하철노조는 조합원 6352명 가운데 5880명(92.5%)이 투표해 4012명(68.23%)이 찬성, 1789명(30.43%)이 반대했고 79명은 무효였다.
서울메트로 제2노조는 조합원 2473명 중 2301명(93.04%)이 투표해 1711명(74.36%)이 찬성, 590명(25.64%)이 반대했다.
서울도시철도노조는 5686명 가운데 5196명(91.38%)이 투표해 4231명(81.42%) 찬성, 965명(18.57%) 반대였다.
3개 노조 전체로는 1만4511명 가운데 1만3377명(92.18%)이 투표해 찬성 9954명(74.4%), 반대 3344명(24.9%), 무효 79명이었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조만간 통합공사 조례안을 서울시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또 25일부터 28일까지 서울지하철 통합공사 명칭을 공모하고 29일 서울시의회에서 시민공청회를 여는 등 내년 3월 출범을 목표로 통합 준비에 들어간다.
시는 양 공사를 통합하면 호선별 시설·장비의 표준화 및 모듈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적재 적소 인력과 예산 투입, 중복 인원 안전 분야 투입 등을 통한 안전 강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지하철 양공사 사장과 노조위원장,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 등 7명으로 구성된 노·사·정대표자협의회는 지난 9일 ‘지하철 통합관련 노사정 협의서(잠정)’에 합의했다.
협의서 핵심 내용은 시민안전 및 공공서비스 확보 최우선으로 통합 혁신을 추진하되 강제구조조정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장 큰 쟁점이었던 인력부분은 중복인력 등 일정 부분을 감축하는 대신 그에 따른 인건비 절감액의 45%는 안전투자 재원으로, 55%는 직원 처우개선에 사용하기로 했다.
안전업무직의 처우개선과 구내운전 운영개선 및 승강장안전문 관련 인력 증원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통합공사의 인력 규모는 기존 협의안대로 중복인원 등 1029명을 4년간 단계적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또 통합공사 출범시 근로자이사제도를 도입하고 경영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참여형 노사관계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지하철 양공사 통합안 노조 투표서 가결…내년 3월 통합공사 출범
입력 2016-11-23 18:13 수정 2016-11-23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