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아그라보다 리도카인·'제2 프로포폴'이 문제… 의혹 확산

입력 2016-11-23 17:43

청와대가 지난해 남성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ㆍ팔팔정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고산병 치료를 위해 샀다고 해명한 비아그라보다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이 더 문제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청와대의 2014년 1월∼올 8월 의약품 구입 목록에 따르면 청와대는 남성 발기부전 치료제 다량과 함께 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 등 4종의 마취제 180개도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각종 포털에 ‘청와대 비아그라’가 검색어 1위에 오르는 등 논란이 되자 온라인에는 네티즌들의 의혹제기가 이어졌다. 특히 ‘의사들 트위터 모음’이라는 글이 빠르게 퍼지면서 관심은 비아그라에서 리도카인으로 옮겨갔다.


리도카인은 정맥에 주사하는 국소마취제의 일종으로 심실성 부정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사들 트위터 모음을 보면 부정맥에 효가가 있다고는 하지만 응급상황에서 중요도가 떨어지는 약이라며 수술하는 병원도 아닌데 과도한 양이라고 지적했다. 리도카인이 피부시술과 관련있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시술 때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 국소마취에 사용하는 약물이라는 것이다.

또 청와대가 구입한 약품 중에서 제2의 프로포폴로 불리는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도 이목을 집중시켰다. 청와대는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를 2014년 11월, 2015년 11월 각각 20개 씩 이 약품을 사들였다. 실제 프로포폴과 비슷한 효과가 있지만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되지 않아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