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조폭 등 8760명 검거… 동네 조폭, 전과 11범 이상 72%

입력 2016-11-22 13:59

경찰에 붙잡힌 동네조폭 10명 중 7명은 전과 11범 이상으로 재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이 지난 1월부터 10개월간 조직폭력배(317개팀·1554명)와 동네조폭(305개팀·1427명) 전담팀을 편성해 집중단속한 결과에 따르면 총 8760명(1만3938건)을 검거됐고 이 가운데 1755명이 구속됐다. 조폭은 2812명(447명 구속), 동네조폭은 5948명(1308명 구속) 등이다.

동네조폭은 통상 폭행·협박을 통해 식대나 금품을 갈취하거나 종업원을 폭행하는 등 영업을 방해하는 행위를 일삼는 자들을 말한다. 영세 상·공인 등을 상대로 업무방해와 폭력 등을 행사하는 경우가 61.8%로 대부분이었다. 이중 전과 11범 이상이 72.3%(4298명)였다.

통상 동일 행위를 3회 이상 반복했을 경우 동네조폭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전과자가 많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서울 동대문에서는 60대 A씨가 청량리 시장 일대 상인들에게 무전취식, 종업원 폭행 등의 행위를 일삼다 업무방해, 폭행, 재물손괴 등 혐의로 구속된 바 있다. A씨는 22세 때인 1976년 강원 원주에서 처음 구속된 이후 지속적으로 동네조폭 생활을 해왔다. 동대문에서 구속될 당시에는 전과가 100차례에 달했다.

경찰은 동네조폭들의 범법행위 자체가 비교적 가볍고 처벌도 가볍다보니 전과가 많은 습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재범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관찰을 하기로 했다.

실제로 지난해 경찰이 붙잡은 동네조폭 4077명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을 통해 피해자에게 보복한 6명과 또 다시 범행을 저지른 264명을 검거하기도 했다.

조폭의 경우에는 유흥가 주점 등을 상대로 술값이나 보호비 명목으로 돈을 갈취하고 조직 간 상호 집단폭행을 하는 폭력·갈취 범죄유형이 59.7%(1678명)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폭력·갈취 유형은 2014년(70.3%)부터 점차 줄었다. 반면 도박개장·인터넷 도박 등 사행성영업 비중이 증가세를 띠었다. 사행성영업 비중은 2014년 2.2%에서 지난해 2.9%로, 올해에는 8.8%까지 3배 가량 늘었다.

연령별로는 활동력이 왕성한 30대 이하가 74.1%로 조직의 핵심이었다. 10대의 비중도 3.1%를 차지해 자퇴생이나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청소년 일부가 조직에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조폭들의 실생활은 영화 등 일부 매체에서 묘사되는 고급차량 이용 등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확인됐다.

조폭 중에는 무직자가 62.9%(1770명)로 상당수가 일정한 수입원이 없었다. 다음으로 자영업(7.8%), 유흥업(5.8%), 건설업(2.2%) 순이었다.

총원이 10명 이하인 조직은 전체의 70.4%였으며 활동기간도 비교적 짧았다. 2년 이상 활동한 조직이 48.5%에 이르긴 하나 1년 미만인 조직도 40.6%인 것으로 집계됐다. 비교적 노출이 적은 소규모 조직으로 활동하면서 각종 이권개입에 따라 단기간에 이합집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조직범죄단체의 불법적 지하경제 운영실태와 정책대안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연구결과 조폭들은 여러 사업을 겸하고 있었는데 이중 오락실·게임장과 도박장 개설·사설경마장 운영 등 사행성영업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조직원 10명 중 4명은 월 보수가 평균 100만원 미만이었으며 월급 없이 다른 조직원의 일을 도와준 뒤 용돈을 받는 경우도 많았다.

경찰은 조폭과 동네조폭 등 생활주변 폭력배에 대한 단속을 꾸준히 전개할 계획이다.

조폭의 자금원천이 되고 있는 불법사행성 영업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등 관계기관과의 협업도 추진한다. 조폭 운영자금은 끝까지 추적, 환수조치해 조직이 와해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청 박진우 수사국장은 "조폭·동네조폭 뿐만 아니라 '갑질횡포 특별단속'의 일환으로 악성고객 등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생활주변 폭력행위 단속에도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를 바란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