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잠룡’이 모여… “피의자 박 대통령 탄핵, 책임총리 동시 추진”

입력 2016-11-20 15:13

검찰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중간수사결과 발표로 ‘비상시국 정치회의’가 갑자기 주목받습니다. 야권 주요인사들이 검찰 수사발표 직후에 모여 정국 수습방안을 논의했기 때문입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지난 17일 제의해 모였습니다. 참가자는 지위가 모두 다릅니다. 소속 당 대통령 후보가 될지도 명확치 않습니다. 그냥 ‘야권의 잠룡’입니다. 그래도 영향력이 상당합니다.

회의 시작 1시간 전 검찰이 박근혜 대통령을 피의자로 입건하고 범죄혐의자로 수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야권 잠룡들이 회의 시작 전 꺼낸 인사말을 정리합니다.

사진=뉴시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장 먼저 회의장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검찰 발표를 보니 대통령에게 탄핵 물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국회가 하루빨리 여야를 넘어 책임총리를 뽑고, 책임총리 운영하는 거국내각이 빨리 자리잡아야 한다”며 여야합의 책임총리를 해법으로 제시했습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검찰발표로 박 대통령이 구속될 충분한 사유가 드러났다. 박 대통령이 스스로 결단해 퇴진을 선언하고 질서있게 퇴진할 방안을 국회와 협의하라. 그렇게 한다면 명예롭게 퇴진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구속될 사유지만 명예로운 퇴진.’ 조금 어렵습니다.

사진=뉴시스

박원순 서울시장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등장하는 모든 책임자를 법정에 세워 죗값을 치르게 해야 한다. 정치권은 대통령이 아무 일도 하지 말라는 국민의 요구를 이행해야 한다”고 했죠. 강경합니다.

사진=뉴시스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는 “박 대통령은 정식 피의자 신분이 됐다. 오는 26일까지 퇴진하지 않으면 탄핵절차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동시에 민주당과 국민의당을 향해 “국민 기대에 못 미치니 적극적으로 지도력을 발휘해 달라”고 했습니다.

사진=뉴시스

오늘 자리를 마련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은 오히려 반격에 나섰다. 질서있는 퇴진과 함께 여야 합의총리 선임과 탄핵을 병행해 추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안 전 대표의 해법은 여러차례 이야기한 기존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사진=뉴시스

안희정 충남도지사도 야권의 통합을 요구했습니다. 그는 “박 대통령이 버티기로 일관하는 이유는 언제나 야권이 분열했다는 믿음 때문”이라며 “야당이 새누리당과 힘을 모아 의회 지도력이 국가 위기를 막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과 힘을 함께 모으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박 대통령 자진퇴진 위해 치열하게 싸우되 이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정치권은 즉시 탄핵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며 “탄핵은 사퇴와 양립불가한 게 아니다. 팀플레이로 동시에 투트랙 가동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탄핵 역풍론’이 많지만 퇴진운동과 함께 진행하면 문제 없다는 겁니다. 또 책임총리는 여야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범국민적 회의체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새누리당 지분을 낮추자는 뜻으로 들립니다.

사진=뉴시스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는 “새 국무총리 선임이 가장 시급하다. 박 대통령 탄핵은 지체없이 진행해야 한다”고 못박았습니다. 동시에 내각제, 분권형 개헌, 검찰개혁 같은 중요한 문제를 추진해 대한민국의 새틀을 짜자고 했죠.

이들은 회의가 끝난 뒤 ‘우리의 입장’ 8개 항목을 발표했습니다. 대통령 탄핵과 국회주도 총리선출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야3당에 요청한다는 내용입니다.













고승욱 기자 swk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