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세월호가 침몰한 2014년 4월 16일의 박근혜 대통령 행적을 상세히 공개했다. 미용 시술을 비롯해 각종 의혹이 쏟아지자 직접 해명에 나섰다.
청와대는 19일 청와대 홈페이지 ‘오보·괴담 바로잡기’ 게시판에
‘세월호 7시간, 대통령은 어디서 뭘 했는가? - 이것이 팩트 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청와대는 “원칙적으로 청와대는 적의 공격이 예상되는 국가 안보시설이므로 대통령의 위치와 동선은 공개하지 않으며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공개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유언비어로 국민이 선동되고 국가 혼란이 가중되지 않도록 세월호 당일 대통령의 집무 내용을 상세히 공개한다”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2014년 4월 16일 오전 9시24분 국가안보실은 “474명 탑승 여객선 침수신고 접수, 확인 중”이라는 내용의 문자 공지를 띄웠다.
박 대통령은 오전 9시53분 외교안보수석실의 서면 보고를 받은 데 이어 오전 10시 국가안보실의 종합 서면 보고를 받았다.
15분 뒤인 오전 10시15분 박 대통령은 국가안보실장에 “단 한 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여객선 내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해 누락인원이 없도록 할 것”이란 지시를 내렸다.
이후 오후 10시9분까지 이어진 세월호 침몰 당일 박 대통령의 집무 내용을 상세히 공개했다.
청와대는 “청와대에는 관저 집무실, 본관 집무실, 비서동 집무실이 있으며 이날은 주로 관저 집무실을 이용했다”면서 “청와대 어디서든 보고를 받고 지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대통령은 출·퇴근이 아닌 모든 시간이 근무시간”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뿐만 아니라 세월호 사고와 같이 분초를 다투는 업무는 현장의 지휘 체계와 신속한 구조 활동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회의 준비를 위해 여러 사람이 움직여야 하는 경내 대면회의 대신 20~30분마다 직접 유선 등으로 상황보고를 받고 업무 지시를 했다”고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