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퇴진 거부 다음은… “탄핵? 강제수사? 야당이 제시하는 해법은”

입력 2016-11-17 11:19 수정 2016-11-17 11:23
박근혜 대통령이 퇴진을 거부하고 청와대가 정면돌파 모드로 전환하면서 정국이 갑자기 얼어붙었습니다. ‘100만 촛불’에 낙관했던 많은 사람들이 갑자기 당황합니다. 질서있게, 평화적으로 촛불을 드는 것 말고 무슨 방법이 있을지 고민합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은 특검으로 박 대통령을 압박하는데 힘을 쏟습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17일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특검법 국회통과를 강하게 이야기했죠. 새누리당 소속인 권성동 법사위원장에게 “법사위에서 계속 몽니를 부리면 국회의장 직권상정 추진하겠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이미 직권상정 약속했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1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엄정수사 촉구 번개촛불집회에서 촛불을 들고 있다. 뉴시스

 
16일 추미애 대표가 한 이야기도 같은 맥락입니다. 그는 “박 대통령이 하야하지 않는다면 법정에 세우겠다”고 했습니다. 법정에 세우는 주체를 명확히 말하지 않았지만 검찰보다 특검에 무게를 둡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석회의에서 주승용 비대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당은 특검 못지 않게 검찰 수사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주승용 비대위원은 오전 8시30분에 열린 당 비대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검찰이 박 대통령을 피의자 신분으로 강제수사 해야 한다. 집무실과 관저, 사저를 압수수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천정배 전 대표는 “검찰이 영장을 청구해 박 대통령을 긴급체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죠.  

국민의당 천정배 전 대표가 17일 연석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하지만 탄핵에는 정리된 당의 입장이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천 전 대표는 “탄핵에 착수해 박 대통령을 직무서 배제시켜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박주선 국회 부의장은 “여야 합의로 총리를 추천해 범국민 중립내각 구성하고 대통령을 2선 후퇴시켜야 한다”면서 “박 대통령이 이미 자백했으므로 탄핵하면 정당성이 확보된다”고 했죠. 청와대에서 탄핵을 유도한다는 박지원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생각과는 조금 다릅니다.


야당이 생각하는 강제력은 결국 수사와 탄핵입니다. 강제수사에는 생각이 비슷합니다. 하지만 탄핵에는 각각입니다. 최근 목소리가 많이 높아진 이재명 성남시장은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박 대통령에엑 퇴진을 종용하면서 탄핵절차 밟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탄핵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회가 탄핵받아야 한다는 말도 했죠.


박원순 서울시장의 트윗입니다. 야당 정치인들의 공통된 생각입니다. 그런데 풀어가는 방식은 많이 다르네요.

고승욱 기자 swk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