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 서울대병원에서 혈액투석을 시작한 70세 이상 노인 환자 820명을 대상으로 투석 전 진료시기에 따른 투석 후 생존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 투석치료에 앞서 적절한 진료 및 상담을 받은 노인환자들의 경우 투석 후 사망 위험이 그렇지 않았던 환자들보다 24%나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특히, 투석 시작 후 90일 이내 급성 사망률은 58%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 조기 관리가 투석 후 생존율 개선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서 투석 전 신장내과의 진료와 교육을 받지 않았던 환자가 48%로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투석 전 사전 교육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만성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콩팥병이다. 말기 단계에 이르면 투석치료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게 된다.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만성신부전과 신대체 요법이 필요한 말기신부전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고령 노인 환자의 경우 신부전 치료 중 사망 위험과 의료비 부담이 높아져 신대체요법 관리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는 중이다.
진호준 교수는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들은 말기신부전이 되기 전에 반드시 투석 전 전문의를 찾아 효과적인 관리 방안과 투석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사전에 받고, 투석 후에도 꾸준히 관리의 적절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