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세월호 참사를 대하는 태도가 담긴 민정수석실 문건이 JTBC 뉴스룸을 통해 공개됐다. 문건은 김기춘 비서실장과의 불화로 지난해 1월 청와대를 떠났다가 올 8월 간암으로 별세한 고 김영한 전 수석의 유품에서 발견됐다고 매체는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33쪽짜리 이 문건은 2014년 6월19일부터 27일 사이에 작성됐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불과 두 달째, 실종자 12명에 대한 수색이 한창 진행됐던 때다. 문건엔 대통령 지지율과 관련해 정권 강화 모색 방안 내용만 기술돼 있었다.
세월호 참사를 ‘여객선 사고’로 칭하며 ‘사고가 국정운영의 발목을 잡는다’거나 ‘보수단체 등을 내세워 여론전을 해야 한다’ ‘지지도 상승 국면에 맞닥뜨린 여객선 사고 악재가 정국 블랙홀로 작용하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여객선 사고를 빌미로 한 투쟁을 제어해야 한다’ 등의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사고의 진상 규명이나 선체 인양, 희생자 가족 지원에 대한 대책, 제언 등이 찾아볼 수 없었다.
세월호 참사 직후 청와대가 “순수한 유가족과 만나겠다”고 발언해 유가족 편가르기 비판을 받았던 것과 일맥상통한다. 문건은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를 대하는 태도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매체는 이 보고서가 국정원에서 작성돼 민정수석실을 통해 대통령에게 보고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