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정보센터(소장 김웅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탈북민의 종교자유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등을 담은 ‘2016 북한종교자유백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7년 이후 입국한 탈북민 1173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2008년부터 종교자유백서를 발간했으며 이번이 아홉 번째다.
조사대상 탈북민은 자신의 종교를 묻는 질문에 기독교 44.2%(4872명), 불교 10.7%(1180명), 천주교 10.2%(1121명) 순으로 답했다. 무종교는 28.8%(3177명)였다.
종교활동을 시작한 시점에 대해선 입국 후 국가정보원에 있을 때부터라는 답이 33.9%(2791명)로 가장 많았다. 중국에서 시작했다고 응답한 이는 30.6%(2518명), 하나원 29.5%(2435명), 제3국 4.2%(344명), 북한 1.9%(154명) 순으로 파악됐다.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9.6%가 자유롭게 할 수 없다고 답했다. 종교활동을 하다 적발됐을 때 받게 되는 처벌의 수준은 정치범수용소행 51.8%(5539명), 교화소행 11.4%(1217명), 노동단련형 2.8%(298명) 등의 순이었다.
백서는 북한인권정보센터가 지난 8월 ‘NKDB 통합 인권 DB’에 수집한 북한 종교박해 사건도 분석해 공개했다. 2007년 이후 북한에서 발생한 종교박해 사건은 1247건이며 그 중 종교 활동에 의한 경우가 51.7%(645건)였다. 종교물품 소지 23.7%(295건), 종교전파 10.7%(133건), 종교인접촉 5%(6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북한은 여러 종교 중에서도 기독교가 김일성 일가의 숭배를 위협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포심을 갖고 핍박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크리스천 탈북민이 많은 이유는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에 성경과 찬송가 책이 많이 유입됐고, 이들의 한국 입국 과정에 많은 선교사와 교회가 함께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