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도시 수원 미래기획단 출범…염태영 시장 “지속 가능 미래 준비하는 첫 단추”

입력 2016-11-15 14:26 수정 2016-11-15 14:28

경기도 수원시는 다가올 ‘인구 절벽’ 시대를 대비하고, 수원시의 미래를 준비하는 ‘청춘도시 수원 미래기획단’이 15일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시청 중회의실에서 염태영 시장은 미래기획단 위촉식을 열고, 위원 40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시에 따르면 미래기획단은 기획운영위원회와 일자리·출산육아·주거환경·건강여가분과 등 4개 분과로 이뤄져 있다. 

 각 분과별로 8명의 위원이 활동한다. 기획단을 대표하고 사무를 총괄하는 단장은 김동근 수원시 제1부시장이 맡는다.

 미래기획단의 목표는 ‘모든 세대가 살기 좋은, 청춘도시 수원’ 조성이다. 

 이를 위해 인구 변화에 따른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미래 비전과 전략, 추진 과제 등을 발굴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각계각층 의견을 수렴하고, 시민들의 제안을 반영하기 위한 ‘미래 포럼’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내년 2월 중에는 ‘수원시 미래 비전’을 선포, 시민들에게 수원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염태영 시장은 “미래기획단은 우리 도시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첫 단추”라며 “사회 구조·체계의 문제, 성장과 발전을 제약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염 시장은 이어 “우리 사회를 변화시켜 보려는 응집된 에너지가 미래 변화를 이끄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춘도시 수원 미래기획단은 지난 1월 열린 염 시장 신년기자간담회에서 처음 언급됐다. 

 당시 염 시장은 “우리는 저성장이라는 낯선 미래에 접어들고 있다”며 “수원시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래기획단을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원시는 9월 ‘수원시 청춘 도시 수원 미래기획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대학교수·분야별 전문가·수원시의회 의원 등 40명으로 이뤄진 미래기획단을 구성하며 출범 준비를 마쳤다.

 인구 절벽은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줄어드는 때를 말한다. 한국은 2018년 인구 절벽이 시작될 것으로 예측되며, 인구 절벽의 원인은 심각한 수준의 저출산이다.

 지난 5년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2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꼴찌다.

 또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비율은 2010년 11%에서 지난해 13.2%로 5년 만에 2.2%p 늘어났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7% 이상)에 들어선 한국은 2017년 고령사회(14% 이상), 2026년 초고령사회(20% 이상)에 접어들게 된다.

 수원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10년 6.9%에서 2015년 8.4%로 1.5%p 상승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