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 근절' 트럼프 정권 인수위에 가족·로비스트 참여

입력 2016-11-12 20:4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부패한 정치를 근절한다는 주장과 반대로 기업 자문가와 로비스트들로 정권 인수위원회를 채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11일(현지시간) 기업체 간부나 자문역, 로비스트 등으로 활동하던 인사 10여 명이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 인수인계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산업계와 연결고리가 있는 인사들을 인수위에 포함시킨 것은 트럼프 당선인이 기득권 정치에 맞서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고 NYT는 우려했다.

 로널드 레이건,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고문을 지낸 피터 베너는 “이런 식이라면 자신은 아웃사이더이며 정치 기득권을 파괴하고 늪에서 물을 빼겠다던 주장은 거짓말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 인사를 지원하고 있는 제프리 아이젠아크는 지난 4년간 버라이즌 등 정보통신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해 온 기업 자문가다.

 에너지 연관 업무를 맡은 마이클 카탄자로와 마이클 멕켄나, 농무부 인선을 담당하는 마이클 토레이 등은 모두 관련 분야의 기업들을 위해 로비 활동을 한 전력이 있다.

 교통·사회기반시설 문제를 감독하는 마틴 휘트머는 전미철도협회(AAR) 등을 변호하는 법률 회사 대표다. 경제 분야를 담당하는 데이비드 말패스는 월가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이다.

 트럼프는 당선 전인 지난 10월 퇴임 공무원과 국회의원의 로비 활동 규제를 강화해 공직자 윤리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