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11일 ‘최순실 게이트 등 진상규명에 대한 긴급현안질문’을 실시했지만 새누리당 질문자는 한 명도 없었다. 야당 의원 12명만 질의에 나서 황교안 국무총리 등을 상대로 파상공세를 퍼부었다.
새누리당에선 뒷말이 나왔다. 비주류 일부는 당 원내지도부의 ‘질문 봉쇄’ 의혹을 제기했고 친박(친박근혜)계에선 “국가적 위기 상황을 외면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보였다.
‘당 해체’를 주장했던 하태경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지도부가 의원들에게 ‘현안질의 있으니 신청하라’는 공지를 안 한 것”이라며 “지도부 독단적으로 새누리당 현안질의를 봉쇄했다”고 했다. 의원들로부터 긴급현안질의 신청을 받고 질의 명단을 작성해야 하는 당 원내지도부가 일부러 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태흠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이 있다는 얘기를 어제(10일) 저녁에 들었다”며 “긴급현안질의를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수용했겠지만 우리 대응이 없지 않느냐”고 했다. 또 “이게 전략과 전술이 아니라면 원내지도부가 정말 무책임한 것”이라고도 했다.
당 원내지도부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입장이다. 정진석 원내대표(사진)는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도 긴급현안질문에 참여하자고 하니까 야당이 이틀을 하자고 하고 야당만 하면 하루만 하겠다고 했다”고 협상 과정을 설명했다. 이어 “아무튼 야당 요구를 안 받을 수는 없었고 하루만 하는 것으로 양해해줬다”고 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선 원내지도부가 늦게 공지하는 바람에 긴급현안질문에 나서지 못했다는 말은 ‘군색한 변명’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미 지난 8일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최순실 게이트 등 진상규명에 대한 긴급현안질문’을 실시키로 합의했다는 언론 보도까지 나왔기 때문이다. 앞서 야당 의원 50여명이 긴급현안질문 요구서를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제출한 바 있다.
친박의 원내지도부 비판에 대해선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며 이정현 대표 사퇴를 압박했던 정 원내대표를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