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동 복지허브 사각지대 해결하는 촘촘한 복지 안전망으로 거듭난다

입력 2016-11-10 15:00
광주광역시 서구 사례. 촘촘한 복지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자료=한국사회복지협의회 제공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0일부터 11일까지 인천시 연수구의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호텔에서 전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계자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1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전국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 서구 사례. 자료=한국사회복지협의회 제공

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대회사를 통해 지역복지 현장에서 민·관협력으로 사각지대와 복지자원 발굴로 지역사회보장 증진에 기여한 협의체 위원 등 관계자의 노력을 격려했다.
경기도 고양시 사례. 자료=한국사회복지협의회 제공


방문규 차관은 “앞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명실상부한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며 “정부에서도 협의체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년 대회는 ‘사회보장급여법’시행에 따른 지역사회보장 환경 변화와 함께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본격 추진을 위한 기반으로 협의체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기위해 추진됐다.

광역시·도 주관으로 관할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참여한 지역대회의 성과와 협의체 운영 우수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확산함으로써 민·관협력 활성화를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사회보장 관련기관·법인·단체·시설의 대표자, 전문가, 사회보장 담당공무원 등 10명 이상 4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는 민·관 협력기구다.

 종전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지난해 7월 ‘사회보장급여법’ 시행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그 명칭이 변경됐다.



특히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신설하면서 기능이 확대 개편됐다.

협의체는 시·군·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시행·평가와 시·군·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 및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자문하고, 지역사회 내 사회보장 관련 기관 간 연계와 협력으로 사회보장급여가 필요한 지원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민관협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 3.0 협업과제인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본격 추진에 부응하기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주민과 함께 마을복지의 중심에 서다!’란 대회 주제로 광주대 사회복지학과 함철호 교수(사례관리학회장)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경험을 토대로 ‘지역사회보장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조 강연을 담당했다.

 또 보건복지부 박금렬 지역복지과장의 ‘읍면동 복지허브화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에 대한 정책 강연을 시작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우수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방문규 차관은 “지역사회보장 환경변화에 부응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역사회보호체계 구축의 구심점으로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협의체의 내실있는 발전이 필요하다”며 “10여년간의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지역주민과 함께 지역사회보장 증진을 위해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 민·관협력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구인 만큼 지역주민의 복지증진과 지역사회의 복지발전을 통해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누리고, 모두가 행복한 지역공동체 문화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인천시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전국대회 최초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홍보 부스를 운영해 전국 지자체 및 인천 10개 군·구 협의체 홍보물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또 폐회식 행사 종료 후에는 참석자 중 인천 탐방을 사전 신청한 150여명에 대해 인천시 중구, 연수구, 강화군 지역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인천의 명소를 전국에 알릴 계획이다.

 한편 2017년 ‘제12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전국대회’는 강원도 강릉시에서 개최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