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을과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더 피부 관리에 신경써줘야 한다. 우리 피부는 다양한 원인을 통해 여러 가지 변화를 겪는다. 그 중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날씨의 변화이다. 하지만 증상이 점점 악화되고 반복된다면 꼭 날씨와 환경 변화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여드름도 그중 하나다. 얼굴이 자주 가렵고 각질이 평소보다 더 많이 일어나며 여드름 증상이 점점 심해지게 된다면, 특히 일반적인 여드름 치료방법으로도 좀처럼 차도가 보이지 않는다면 지루성여드름 피부를 의심해보고, 적극적인 치료에 나설 필요가 있다.
경희샘한의원 구재돈 원장은 “지루성여드름 피부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피부질환으로 피지 분비가 활발한 두피, 얼굴, 겨드랑이, 가슴 등에 나타날 수 있다. 과도한 피지분비가 일어나는 지루성피부염은 여드름과 혼동하기 쉬운 피부염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지루성피부염은 여드름과는 전혀 다른 질환으로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치료도 다르게 진행되어야 한다. 만약 지루성피부염을 단순 피부질환이라 생각해 방치하게 된다면 홍조나 각질, 진물 등의 증상들이 점점 악화되어 지루성두피염으로 번지는 등 다양한 합병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루성여드름 피부는 초기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 빠른 치료를 요한다. 질환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해야 하며 치료 중이나 이후 불규칙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도 바로 해주어야 한다.
지루성여드름 치료는 우선 지루성피부염의 원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구 원장에 따르면 원인은 체내 열이 쌓이고 순환하지 못해 머리와 안면부에 쏠리게 되는 열대사장애다. 결국 체내의 열이 과도하게 쌓여 그것이 피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나타나게 된 증상이 지루성여드름인 셈이다.
열대사장애 해소가 가능한 한약, 증상 개선 효과가 빠른 약침치료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한약은 개인의 증상 및 체질 등 특이사항을 반영해 맞춤 처방되는데, 열 대사장애 해소 및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이다. 약침은 녹용과 산삼 등의 약재에서 얻은 유효성분을 주입함으로써 피부재생과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지루성여드름 치료 방법이다.
구 원장은 “지루성여드름은 일반여드름과 달리 피지를 제어하는 방법의 치료만으로는 개선이 어렵다.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증상을 초기에 구분해내고,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적인 치료와 함께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홈케어를 실시해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식단조절을 통한 식이치료를 병행하여 지루성여드름이 악화되는 일이 없도록 관리한다면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