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역사쿠데타” 전국 곳곳서 반대

입력 2016-11-09 17:04

전국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이 동시다발로 이뤄졌다. 일부 교육감들은 공동성명을 내고 국정 역사교과서 폐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 484개 교육·시민단체로 이뤄진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교과서 철회’를 촉구했다. 부산 시청광장, 대전교육청 앞, 충북도청 등 7곳에서도 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인천에선 전날 오전 11시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이 있었다.

이들은 “국정 역사교과서는 반 헌법적 역사관인 ‘건국절 사관’에 입각해 집필됐다”며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헌법정신을 유린하고 국민주권을 부정하는 역사쿠데타”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순실 게이트’로 국정농단 과정이 낱낱이 밝혀졌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원천무효임을 전국에서 동시에 선언한다”고 덧붙엿다.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이날 오전 11시30분부터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시·도 교육감들도 ‘국정화 중단’에 가세했다. 김지철 충남교육감, 김병우 충북교육감, 최교진 세종교육감은 공동성명을 냈다. 세 교육감은 “넓고 긴 안목과 바른 사관으로 엄정하게 추진해야 할 역사교과서 편찬사업에도 국정농단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국정 역사교과서가 ‘최순실 교과서’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며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한 ‘교과용 도서심의회’를 통해 국정 교과서 지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교과용 도서의 범위·검정·인정·발행·공급·선정 및 가격 사정 등을 심의하는 교육부장관 소속의 교과용 도서심의회를 설치할 수 있는 근거를 법률에 규정한 것이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