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금융시장 요동…달러 강세, 원화·페소화 약세

입력 2016-11-09 14:24

미국 대선 결과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되자 9일 전세계 금융시장이 충격에 휩싸였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당시와 비슷한 혼란 양상이다. 

원화와 페소화 등 신흥국의 통화는 약세를 나타내고, 엔화 등의 안전자산은 강세 기조를 보이고 있다.

초반부터 트럼프가 경합주를 중심으로 승리를 이어온 영향으로 1시39분 현재 원·달러 환율은 전일(1135.0원) 대비 18.7원 오른 1153.7원으로 뛰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1135.0원)보다 6.0원 내린 1129.0원에 출발했다. 원화가 강세를 나타낸 것은 개표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만 해도 시장이 클린턴의 승리에 무게를 둔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트럼프와 클린턴의 지지율 변화에 따라 요동치며 변동성을 키워왔다.

개표 초반에 뉴욕타임스가 트럼프의 당선 확률이 94%에 이른다고 분석하는 등 트럼프의 승리가 점쳐지자,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아울러 안전자산인 엔화 가치는 상승한 반면, 트럼프가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공격한 멕시코의 페소화 가치는 10% 이상 폭락했다.

1시19분 기준 달러 대비 페소화 환율은 20.5056페소화로 전일 대비 10.669% 올랐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캐나다 달러 가치도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캐나다, 멕시코, 미국 등 북미 3개국이 맺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재협상을 요구하겠다는 입장이다.

1시45분 기준 달러 대비 캐나다 달러 가치는 0.84% 하락했다.

이렇듯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금융외환당국도 긴장 태세다.

한은은 8일에 이어 이날 오후 2시에도 이주열 총재 주재로 미국 대선과 관련한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한은은 외환시장의 리스크를 포함한 금융시장 전반의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시나리오별로 대책을 세울 방침이다.

기재부는 이날 오전 최상목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진행했다. 진웅섭 금감원 원장도 오전에 시장상황 점검회를 열고 미국 대선결과가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에 대해 주요 임원들에게 당부했다.

오후 4시30분에는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대응계획을 논의할 방침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