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날 장관 지명된 임종룡·박승주 엇갈린 운명?…‘결국 굿판이 문제?’

입력 2016-11-08 17:30
박근혜 대통령이 8일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 지명을 사실상 철회하면서 김 내정자와 협의해 지명한 임종룡 경제부총리, 박승주 국민안전처 장관 내정자의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두 사람이 풍전등화(風前燈火)의 상황에 놓인 가운데 일각에서는 여야가 경제 상황을 고려해 임 내정자의 인사청문회는 진행하면서 ‘굿판 논란’을 일으킨 박 내정자의 지명을 철회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을 만나 “(여야 합의로 추천한 국무총리가) 실질적으로 내각을 통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는 여야가 추천한 총리 내정자의 각료 임명 제청권도 존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이 임 내정자와 박 내정자의 거취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두 사람의 지명도 재검토될 가능성이 높다.

박승주 국민안전처 장관 내정자의 지난 5월 한 무속행사 참석 당시 모습(사진=YTN 캡처)


특히 무속행사 참석과 전생 체험 주장이 논란이 된 박 내정자의 경우 여야가 사실상 지명 철회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은 박 내정자가 무속행사에서 사용한 용어를 두고 “최태민·최순실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여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 분위기를 볼 때 (박 내정자 지명은) 아무래도 불가능할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임 내정자 거취의 경우 경제 사령탑 공백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높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를 비롯해 야권에서도 최순실 사태 정국 수습과는 별개로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한 경제부총리 내정은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구성이 필요한 총리와 달리 경제부총리와 장관은 소관 상임위 인사청문회만 거치면 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