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에 출시될 갤럭시S8에 인공지능(AI) 서비스가 탑재된다. 기존 AI 서비스보다 영역을 확대해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모든 가전제품을 연결하는 개방형 서비스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AI 플랫폼 업체 비브 랩스(이하 비브) 다그 키틀로스 최고경영자(CEO), 아담 체이어 부사장 등이 4일 삼성전자를 방문해 이재용 부회장을 만나 향후 AI 서비스 개발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6일 밝혔다.
비브 일행과 30분 가량 대화를 나눈 이 부회장은 “비브 랩스의 AI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더 큰 즐거움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비브의 솔루션을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반도체 등 삼성전자의 다양한 제품과 통합해 IoT 시대의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브는 “갤럭시S8에 AI 플랫폼이 탑재될 것”이라며 “굉장히 기대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애플 시리를 개발했던 이들은 애플을 떠나 삼성전자와 손을 잡은 것에 대해 “정말 많은 회사를 선택할 수 있었지만 삼성전자만큼 스마트 기기 라인업이 다양한 회사가 없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또 “가장 핵심적인 비전은 세계 어디에서든 사용 가능한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라며 “몇 달 전 삼성전자가 비브를 방문해 AI에 대한 비전을 공유했는데 우리가 추구하는 것과 같았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와 비브는 AI 플랫폼을 개방형으로 추진한다. 두 회사 외에 외부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해 AI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비브는 “단순히 ‘지능’ 단계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시하는 것을 자연스레 할 것이며 현재 제공되는 단편적인 서비스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서비스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브는 “AI 플랫폼은 스마트폰에서만 작동하는 게 아니라 일상에서 소통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도 작동하 것”이라며 “완벽한 플랫폼으로 만들기까지 얼마나 더 걸릴지는 확실치 않으나 완벽함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서비스의 이름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최근 특허청에 빅스비(Bixby)라는 이름으로 관련 상표 출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