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자본, 인천상륙작전 실패수순 밟나

입력 2016-11-01 16:54
두바이자본의 인천투자를 추진해온 스마트시티코리아(SCK) 측이 인천시의 최후통첨에 대한 두바이측의 입장을 언론에 공개함에 따라 투자가 실패로 끝날 경우 향후 이 협상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1일 스마트시티코리아에 따르면 인천시는 10월31일 오후 늦게 스마트시티코리아(SCK)와 스마트시티두바이(SCD)측에 각각 이메일을 통해 검단 스마트시티 협약서의 최종안을 보낸 바 있다.

이와 관련, SKC는 입장발표를 통해 “적극적인 투자의지와 전향적인 자세로 막판까지 협의를 다해온 입장에서 최종안은 더욱 좌절감을 안기는 내용이었다”고 아쉬워했다.

이어 “인천시의 안은 한마디로 기존 입장과 달라진 것이 거의 없다”면서 “이행보증금 납부 시기를 한달 정도 늦춰주는 것 외에 별도의 안전장치조차 없는 개발비의 선지급, 기업유치에 대한 담보제공 요구 등 기존 계약서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폭로했다.

 이들은 또 “특히 이번 최종안은 SCK와 SCD간 오랜 검토와 숙고 끝에 지난 주말 인천시 측에 제시한 수정안을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며 “두바이측은 수정안을 통해 스마트시티 두바이(SCD)가 계약 당사자로 참여하겠다는 공식 의사를 인천시에 전격적으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조치가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인천시민들의 기대감 못지않게 사업 무산에 대한 우려감도 적지않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해 두바이가 관례를 깨고 내린 대승적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였다.

이들은 “SCD는 정부간 협력사업의 파트너로써 신의성실의 원칙에 입각해 이행보증금 및 개발비 납부,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에 대해 합리적인 안전책을 마련해줄 것을 정중하게 요청했다”며 “SCD도 책임과 의무를 다하기로 한 만큼 인천시도 검단 스마트시티의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최소한의 상호신뢰와 진정성을 보여달라는 간절한 호소”라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인천시는 SCD의 이같은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시는 오는 2일까지 인천시 최후통첩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사업이 무산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최초 이 프로젝트를 제안한 SCK측은 “두바이측은 검단 스마트시티 사업을 통해 검단 지역 뿐 아니라 인천시의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인천시와 최종 시한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협상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