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선박 조기발주, 선박펀드 활용 등을 통해 2020년까지 250척(11조원 규모) 이상 발주를 추진하기로 했다. 조선산업의 단기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31일 오전 7시30분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6차 산업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조선산업 경쟁력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인 방안은 이날 회의 후 추가로 발표된다.
정부는 조선업 발주량이 2020년에도 발주량이 2011~2015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조선사별로 경쟁력 있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도록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촉진해 나가기로 했다. 유 부총리는 모두 발언에서 “기존 조선산업을 경쟁력과 수익성 위주로 재편하고, 고부가가치 선박서비스 분야로 외연을 확대하는 등 선박산업으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우선 친환경·스마트선박 등 건조선박의 고부가가치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선박수리·개조, 플랜트 설계 등 새로운 서비스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2017년까지 긴급경영안정자금 1조7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조선업 밀집지역의 금융애로를 해소하기로 했다. 해운산업에 대해서도 선사들이 경쟁력 있는 선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박신조 프로그램 등 총 6조5000억원 금융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정부, 2020년까지 공공선박 조기발주 등 250척 발주 추진
입력 2016-10-31 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