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에 선 시민들은 청와대를 향해 애국가를 불렀고, 경찰은 “나라를 사랑하는 여러분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시민들을 달랬다. 지난 29일 밤 최순실 국정농단을 규탄하는 서울 광화문 일대 집회의 풍경이었다.
최저기온이 10도 아래로 뚝 떨어진 29일 밤 3만여명(경찰 추산 1만2000여명)이 촛불, ‘하야하라’는 문구가 적힌 스마트폰을 들고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였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오후 9시10분쯤 시위대 어느 구석에서 누군가 애국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웅성거리던 시민들은 하나둘 따라 불렀다. 도돌이표가 붙은 듯 반복되는 애국가는 청와대를 향해 밤하늘을 가로질렀다. 경찰은 “해산하라”는 경고방송 대신 “나라를 사랑하는 여러분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시위대를 달랬다. 서울 도심을 뒤덮은 이날 집회는 이전 집회·시위와 다른 몇 가지 특징을 보였다.
①다양한 연령층 참여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주최로 오후 6시 집회가 열리자 서울 청계광장은 어린이들을 데려온 가족과 연인은 물론 노인층으로 가득 찼다. 난생 처음 집회에 나왔다는 유모(67)씨는 아내와 함께였다. 유씨는 “박 대통령을 뽑은 나 자신이 참담하고 자녀들에게 죄를 지은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 고양시에서 온 이모(15)양은 “중학생도 납득하기 어렵고 부끄러운 일”이라고 했다. 서울 강서구에 사는 신모(37)씨는 품에 두 돌을 갓 지난 딸을 안고 아내, 6살 아들과 함께했다. 신씨는 “훗날 아이들이 아빠와 엄마는 당시 무엇을 했냐고 물었을 때 부끄럽고 싶지 않아 나왔다”고 했다.
②경찰도 “여러분 마음 이해한다”
청계과장이 발 디딜 틈도 없어지자 인파는 청계천로까지 밀려났다. 경찰병력 4800명으론 역부족이었다. 오후 7시10분부터 행진에 나선 시민들이 당초 신고한 경로를 벗어나 청와대 쪽으로 향했지만 경찰 차단벽 3개는 별다른 충돌 없이 열렸다. 행진 선두는 오후 8시쯤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몸으로 막아선 경찰과 잠시 대치했다. 경찰은 이례적 발언으로 평화 시위를 독려했다. 홍완선 서울 종로경찰서장은 오후 8시20분부터 “나라를 사랑하고 걱정하는 여러분의 마음은 충분히 이해한다. 이럴 때일수록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하고 경찰 안내에 따라 이성적으로 행동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③평화시위 주도한 시민들
밤이 깊었지만 시민들은 평화로운 시위를 주도했다. ‘특정 세력’이 주도했다기보다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분노해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선 이들이 많아서였다. 곳곳에서 “경찰을 때리지 마라”고 서로를 타이르며 흥분을 가라앉히기도 했다. 집회, 행진, 대치 과정에서 연행된 사람은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됐다가 풀려난 이모(26)씨 뿐이다. 서울지방경찰청은 30일 “이성적으로 협조해준 시민들에게 감사한다”고 밝혔다.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민중총궐기 투쟁본부는 “매일 저녁 광화문에서 촛불집회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 12일에는 15만명 규모의 민중총궐기 대회가 예고됐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청와대 향해 애국가 부른 시민들, 경찰도 “이해한다”
입력 2016-10-30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