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9일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촉발된 국정혼란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당분간 총리주재의 부총리 협의회를 매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국무위원 간담회가 열린 것은 지난 27일 이후 두 번째다. 당시 황 총리는 긴급 국무위원 간담회를 통해 흔들림 없는 국정운영을 당부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20개 부처의 장관 또는 장관급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국무위원 간 긴밀한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총리 주재의 '부총리 협의회'를 매일 개최하기로 했다. 첫 회의는 오는 31일 오전에 열린다. 회의 참석 대상은 경제부총리·사회부총리·외교부 장관·행정자치부 장관 등이다.
정부는 아울러 경제·사회 관계장관회의 등 분야별 회의체를 적극 가동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는 등 분야별 국무위원간 협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안보 분야는 관계부처끼리의 협업 아래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태세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경제 분야는 추가경정예산 등 27조원의 재정보강 대책을 신속하게 집행해 경제 위기를 관리해 가기로 했다.
또 오는 31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 장관회의를 열어 장관회의를 열고 조선·해운업 경쟁력 강화방안 및 조선업 밀집지역 대책을 발표키로 했다.
사회 분야는 국민안전 확보를 위해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과 지진방재 종합개선대책 수립에 속도를 내고,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동절기 취약계층 지원대책,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학자금 지원 종합대책도 조속히 마련키로 했다.
황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최근의 사태로 공직사회가 침체되고, 공무원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있다는 걱정과 우려가 있다"며 "국무위원들이 소관 현안 과제들을 빈틈없이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