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는 교회 재정의 재량권에 분명한 한계를 정해야 한다.”
신기형(이한교회) 목사는 27일 열린 목회자윤리세미나의 ‘목회자의 경제윤리’ 주제발표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사장 홍정길 목사)과 기윤실 부설 기독교윤리연구소 주최로 서울 마포구 100주년기념교회에서 열렸다.
신 목사는 “목회를 성직이라 부르는 이유는 목회가 일반직업과 다르기 때문”이라면서도 “목회자도 경제활동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돈의 필요성을 동일하게 느끼며 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 문제와 관련해 목회자는 ‘신뢰’를 요구받는다. 목회자의 경제활동은 성도들에게 본이 돼야 하고, 헌금도 목회와 사역에 책임감 있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성도들이 헌금과 교회 재정 문제에 매우 민감함을 알고 교회의 재정 마련부터 집행과 보고에 이르기까지 최선을 다해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원하 고신대 교수는 ‘목회자의 성윤리’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목회자의 성적 탈선은 성도들이 성직에 부여한 권위를 악용한 사건”이라고 규정하며 “목회자 성폭력 사건은 기독교에 대한 사회 불신을 낳고 결국 복음 사역에 엄청난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목회자의 성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심한 스트레스 속에 영적으로 탈진하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꼽으며 “목회자도 성적인 유혹에 언제든 넘어갈 수 있음을 인지하고 목회자로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경고체계와 지원체계가 동시에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윤리강령과 교회법의 보완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