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관 前위원장 실형은 정치보복” 영화인 집단반발

입력 2016-10-26 22:33
뉴시스

이용관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가 업무상 횡령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데 대해 영화인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영화단체연대회의는 26일 공식 성명서를 내고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업무상 횡령 혐의를 인정한 재판부의 판결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날 부산지법은 “중개수수료 지급에 대한 사실을 인지하고 묵시적으로 결재 승낙한 혐의가 인정된다”며 이용관 집행위원장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이에 대해 영화단체연대회의는 “재판부의 판단을 수용할 수 없다”며 “영화계는 공정하지 못한 판결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반박했다.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김동호 현 부산영화제 이사장 등과 함께 부산영화제를 창설했다. 초대 프로그래머를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부산시와 함께 부산영화제를 국제적인 영화제로 성장시키는데 공헌했다. 이는 한국영화가 르네상스를 거치고 해외로 뻗어나가는 발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2014년 ‘다이빙벨’ 상영 이후 부산시의 간섭과 검열이 시작됐다. 부산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은 훼손됐고, 이에 반발한 영화인들은 보이콧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올해 열린 제21회 영화제는 영화인들이 대거 불참해 ‘반쪽짜리 영화제’라는 비판을 받았다.

영화단체연대회의는 “갈등 봉합에 힘써야 할 부산시는 영화제 감사를 시작으로 이용관 집행위원장에게 지속적으로 사퇴를 종용하고 해촉한 것으로도 모자라 무고한 혐의를 씌워 검찰 고발했다”며 “부산영화제 사태를 이용관 집행위원장과 전양준 전 부집행위원장, 강성호 전 사무국장, 양헌규 사무국장 등 개인들의 잘못으로 변질시켜 사태를 무마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검찰의 무리한 기소는 ‘부산영화제 길들이기’를 위한 정치적 탄압이며 이용관 집행위원장 개인을 향한 정치적 보복의 연장선이기에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무고함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했다”면서 “하지만 이용관 집행위원장, 강성호 전 사무국장, 전양준 전 부집행위원장, 양헌규 사무국장에게 모두 유죄를 선고한 재판부의 결정에 유감과 비통함을 금할 수 없다”고 개탄했다.

영화단체연대회의는 “끝까지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지지하겠다”며 “부산시의 집요한 보복과 정치적 모략에 실추된 이용관 집행위원장의 명예가 회복될 때까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화단체연대회의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등 국내 9개 영화단체로 구성된 조직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