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노동조합, 참여예산센터 등 인천지역 9개 단체는 26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인천시가 더이상 두바이스마트시티에 미련을 두지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교헌 인천도시공사 노조위원장은 “파주시처럼 관련 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자금능력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오면 원안대로 검단신도시를 개발하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산업통상부는 경제자유구역 총량에서 조정해오면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요건을 갖추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위원장은 “인천시의 협상상대가 두바이 정부가 아닌 KSC(유)여서 파산시 대안이 없다”면서 “연 2000억원의 금융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1년7개월동안 공방만 하고 있는 상황을 중단하는 것이 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정위원장은 또 “스마트시티지역이 LH 명의로 등기가 되어 있어 도시공사로 재등기를 한 뒤 스마트시티에 넘기는 과정에서 취득세 1300억원 발생하는 문제, 스마트시티 추진시 녹지훼손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환경부와의 협의가 어려운 점, LH의 행복주택 1600가구가 발주직전인 상황에서 추진을 보류하기가 어려운 점 등 난제가 산적해 있다”고 따졌다.
정 위원장은 마지막으로 “수도권의 택지개발로 조성된 땅이 모두 매각된 상황에서 도시공사는 스마트시티 추진을 이유로 땅이 있는데도 팔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어 더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