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사회’에 대한 반성이 일고 있는 일본에서 공무원도 그동안 과도한 초과근무에 시달려온 사실이 드러났다.
교도통신은 26일 시가현청에서 지난해 시간외근무를 연간 1000시간 넘게 한 직원이 20명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최장시간 근무한 직원은 1396시간이었다. 어린이 청소년국, 히코네시 아동 가정 상담 센터에서도 각 3명씩이 1000시간을 넘겼다. 이 센터는 “아동 학대 통보가 늘면서 사람도 늘리고 있지만 건수가 그 이상으로 늘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현 차원에서도 과도한 잔업을 문제로 인식하고 매년 줄여나가고 있지만 변화는 여전히 더디다. 연간 1000시간 이상 근로한 직원은 2013년 28명, 2014년 29명이었다.
초과근무 수당의 총액은 오히려 올랐다. 지난해에는 16억 9300만엔이 초과근무 수당으로 지급됐다. 현청은 “올해 정시 퇴청 날을 더 철저히 준수하고, 2개월 연속으로 장시간 근무를 한 직원의 소속 부서장에게 개선 방안을 보고하게 하는 등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 직원 조합 측은 “사람은 줄었지만 업무는 줄어들지 않고 질, 양 함께 직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직원의 피로 등은 주민 서비스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직원 증원을 요구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12월 광고회사 덴츠 신입직원이 과로로 자살한 사건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됐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