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만성질환자는 1439만명으로 전체 국민의 2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 등으로 고혈압,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면서 만성질환자가 1400만명을 넘어섰다.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도 22조2361억원으로 2008년 대비 2.1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의 전반적 현황을 기록한 ‘2015년 건강보험통계연보’를 25일 발간했다.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11개 질병 만성질환자는 1439만명으로 전년(1399만명) 대비 2.9% 늘었다. 고혈압 환자가 571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경계질환(274만명), 정신및행동장애(263만명), 당뇨병(252만명) 순이었다. 만성질환자 중에선 만성신장병증이 전년 대비 9.2%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만성신장병증 환자는 2008년 이후 매년 평균 11.0%씩 증가하고 있다. 반면 갑상선의 장애, 호흡기 결핵 환자는 각각 2.1%, 4.0% 감소했다.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22조2361억원으로 2008년 대비 2.1배를 기록했다. 노인 인구가 지난해 기준 622만명으로 증가하면서 진료비도 전년 대비 11.4% 늘었다. 노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362만원으로 전체 1인당 연평균 진료비(113만원)의 3배가 넘었다. 65세 이상 노인 환자 중에선 ‘본태성(원발성)고혈압’의 진료 인원(246만명)과 진료비(1조3157억원)가 가장 많았다. 치주염및치주질환 환자의 진료 인원 및 진료비도 각각 204만명과 1679억원으로 집계됐다. 노인 환자 중 가장 많이 입원한 질병은 노년성백내장(20만명)이었다.
지난해 전체 진료 환자 중 입원 진료가 가장 많았던 질병은 폐렴(29만명)이었다. 이어 기타추간판장애(27만명), 노년성백내장(26만명) 순이었다. 어깨병변은 2008년 입원 진료 89위였으나 지난해 8위로 81계단 상승했다. 경추간판장애, 치매, 기타추간판장애 순위 역시 크게 상승했다. 외래 진료가 가장 많았던 질병은 급성기관지염으로 1501만명이었다. 외래진료의 경우 입원진료에 비해 순위가 크게 상승한 질병이 적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진료비는 57조9546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고 급여비도 45조7602억원으로 6.8%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보험료는 9만4040원이었으나 직장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10만510원으로 10만원을 넘겼다. 지역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8만876원이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