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보도자료로 또 불거진 ‘박정희 광복군 행적’ 논란

입력 2016-10-25 09:06
자료사진

국방부 산하기관인 국립서울현충원이 24일 박정희 전 대통령의 37추기 추모식 행사를 알리는 보도자료에 박 전 대통령의 ‘광복군 활동’ 약력을 명시했다. 국방부는 ‘고(故) 박정희 대통령 37주기 추모식 지원’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하면서 박 전 대통령의 약력으로 “1917년 11월 14일 경북 선산에서 태어나 1937년 대구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3년간 재직했다”며 “1944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광복군에서 활동했다”고 적었다.

하지만 학계에선 박 전 대통령이 광복군에 합류한 것은 해방 이후로, 그 전엔 독립운동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민족연구소는 이 보도자료를 심각한 역사왜곡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광복군이 서명한 태극기


민족문제연구소의 박한용 교육홍보실장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보도자료에 대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역사 왜곡과 미화”라고 지적했다. 한발 더 나아가 그는 “국방부가 전사편찬연구소도 있지 않습니까”라고 반문한 뒤 “미필적 고의라기보다 상당히 뭐냐면 사기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박 실장은 “박정희 대통령이 일제강점기인 1944년에 일본에게 괴뢰국인 만주국의 사관학교인 만주군관학교를 마친 다음에 45년 광복군에 들어가서 활동했다고 돼 있는데 한마디로 얘기하면 이 부분 자체가 심각하게 역사왜곡과 역사미화가 돼 논란이 되고 또 사실과 전혀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고 했다.

그는 “해방 전과 해방 후는 천지차이”라며 “(이런 사실을) 아예 다 빼버리고 얘기했다는 것 자체가 작위에 의한 역사왜곡”이라고 비판했다.

박 실장은 박 전 대통령의 광복군 참여 시점에 대해 “(45년) 9월 중하순경. 그러니까 한마디로 하면 일제강점기에 독립군으로서의 광복군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무장조직으로서의 광복군하고 아무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해방이 될 때까지도 박정희 대통령은 만주군관학교를 마친 이후에 만주국 제8단 지금으로 치면 제8연대에서 장교로 복무하였고 1945년 8월 17일 중국인 군인들에 의해 무장해제 당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확하게 얘기하면 박정희 대통령 경우에는 1945년 8월 17일까지는 적국 장교”라며 “왜냐하면 1941년 12월달에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을 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에 대해서 선전포고를 했다. 선전포고가 있었을 때 박정희 대통령은 만주군 안에 들어가 있었고 적국 장교로서 활동하다가 1945년 8월 17일 해방 지나고 이틀 뒤에 해방을 맞이한 게 아니라 패전을 맞이한 적국 장교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박 실장은 박 전 대통령이 광복군에 들어간 것에 대해 “경력 세탁”이라며 “그렇게 보는 게 정확하다”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